학술논문
발달장애 청소년 자기옹호 관련 요인 분석
이용수 405
- 영문명
-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the Self-Advocacy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민혜(Lee Min-hye) 박원희(Park Won-hui)
- 간행물 정보
-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제4권 제1호, 123~15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옹호 경험을 알아보고, 연구를 통해 자기옹호 경험이 어떠하며 관련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 청소년 9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개별적 자료를 조합해 나가며 전체상으로 구조화해 원인을 밝혀나가는 KJ법(친화도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연구참여자들이 자기옹호와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자기옹호의 관련 요인으로는 자기옹호의 장인 가정이나 학교에서 장애라는 것 자체가 자기옹호의 경험을 망설이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으며 고집은 자기옹호의 중요한 수단으로 발현되기도 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elf-advocacy experienc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igure out their self-advocacy experiences and their related factors.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nin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r methodology, the KJ method(affinity diagram) was used which involved collecting various data, putting together individual data, and identifying causes through their structurization into a big picture. The findings show that the participants had a variety of experiences related to self-advocacy. As for factors related to self-advocacy, having a disability itself became a factor to make them hesitate with their self-advocacy experiences at home and school, which are venues of self-advocacy. Persistence was manifested also as an important means of self-advo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de a couple of proposa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