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다문화 접촉 및 문화다양성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질적 탐색
이용수 406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Meaning of Teachers’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김효진(Kim Hyo Jin)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35권 제3호, 103~1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다문화 접촉 및 문화다양성 경험을 바탕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다문화교육에서 교사의 다문화 접촉 및 문화다양성 경험이 갖는 실제적 의미를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교사양성과정을 경험하고, 현재 해외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 중에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 접촉 및 문화다양성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며 변화의 과정을 거치는지에 대한 그 양상 및 의미는 ‘다문화신념에 대한 성찰’, ‘다문화교육 이해에 대한 성찰’, ‘다문화감수성 및 문화반응적 태도 변화’ 등으로 요약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접촉 및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한 교사들의 경험 내용 및 변화의 과정과 방향에 귀 기울임으로써 다문화 접촉 경험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고, 교육적 가능성을 모색하여, 향후 체계적인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hanges can be made through multicultural contact and cultural diversity experiences in Study Abroad Program.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4 teachers were studying at the graduate school in the United States. They reveal that all of the teachers never took a course on multicultural education during thei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raining. Also, teachers with no experiences of having student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flective self-examination on multicultural beliefs’, ‘Reflective self-examination o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anges of diverse sensitivity and culturally responsive attitude’. By listening to the discourses of the individual teachers, it can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in teacher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include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theory courses have only their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생 인성교육 개선을 위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교사 협력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학생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내용 주제와 구조 분석
- 교사의 다문화 접촉 및 문화다양성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질적 탐색
- 이주배경 학생 밀집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
- 유아교사의 또래교수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교사 정체성 이론과 쟁점 및 과제
- 수업전문성 측정도구(ICALT)의 문항별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연구
- 교사 의복행동을 통한 초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 국내 예비교원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체제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탐색
-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한 기간제 교사와 정규 교사의 교직 업무 특성 비교
- 교사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경험하는 ‘역할 갈등’분석
- 2015 개정‘지식재산일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효과
- 유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척도 개발
- 역사적 신제도주의와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교장임용제도 변화 분석
- 교육부패예방 구조분석
-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및 교사인식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