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124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김서현(Kim, Seo-Hyun)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0권 제1호, 39~4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의 적용대상과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NDS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 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데이터베이스에서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검색어로는 ‘모바일’ 또는 ‘스마트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앱’ 또는 ‘어플’ 그리고 ‘재활’, ‘효과’ 또는 ‘중재’로 하였다.
검색된 논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여 최종 분석한 논문은 11편이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언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편, 청각장애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 자폐 범주성 장애 대상 연구는 3편, 뇌졸중 대상 연구는 1편, 지적장애 대상 연구는 3편으로 나타났다. 중재 제공의 형태는 한 집단 내비무작위 연구가 2편, 단일대상 연구가 9편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중재효과 측면에서는 10편에서 가설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1편에서는본 연구를 위한 예비실험논문으로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치료도구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중재에 활용 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고, 향후 치료 목표 및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concrete and useful data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nd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intervention, analysis of the intervention for further study.
Method : This study was searched form papers published from Jan, 2013 to Dec, 2017 using NDSL, RISS, KISS, DBpia based. Key words using on the search were ’mobile’ or ’smartphone’, ’application’ or ’app’, ’rehabilitation’,’effect’ or ’intervention’
Result : Elev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mong the 11 subjects, two were for aphasic, three wer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two were for hearing-impaired, three wer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just one were for stroke. A form of intervention was that non-randomized one group studies were two studies and the other studies were single experimental studies.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had meaningful effect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in 10 subjects. The other study reported that preliminary study for this study could has been confirm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treatment tool.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y presenting the usage type and intervention results.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evidence for intervention goa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자중심 과제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65세 이상 노인의 수동휠체어 조작능력 평가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 욕창예방방석 및 욕창예방매트리스 급여의 경제적 효과분석을 통한 장애인 보장구의 예방적 급여제도 실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재활로봇중개연구의 성과분석을 통한 추진전략 수립 방안 연구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게재논문 분석을 통한 동향분석
- 시지각 훈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손기능과 시지각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 실행체계(OTPF)의 투약계획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조사
-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