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직업흥미와의 상호관계성
이용수 46
- 영문명
- Mutual relations between MBTI and Strong Interest Inventory of Korean vers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단현국(Dan Hyun K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08권 제1호,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성격유형의 특성이 교사의 직업흥미와 어떤 상호관계성을 보여주고 있는가를 밝혀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공·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여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김정택, 심혜숙, 1990)와 스트롱 직업흥미검사(김정택, 김명준, 심혜숙, 2001)를 실시하여 상호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스트롱 직업흥미검사의 척도별로 성격유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GOT 척도에서 MBTI의 외향형(E)은 사회형과 진취형과 관련이 있으며, 직관형(N)은 예술형과 관련이 있고, 사고형(T)은 진취형과 관련이 있었다. BIS 척도에서는 외향형(E)은 군사활동, 운동경기, 기계관련, 의학, 가정/가사, 교육, 의료봉사, 대중연설, 법/정치, 상품유통, 판매, 조직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직관형(N)은 과학, 음악/드라마, 글쓰기와 관련이 있으며, 사고형(T)은 기계관련, 수학, 종교활동, 대중연설, 법/정치, 상품유통, 판매, 조직관리, 자료처리와 관련이 있었다. PSS 척도에서는 외향형(E)은 업무 유형, 리더십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직관형(N)은 학습 유형과 리더십 유형과 관련이 있으며, 사고형(T)은 리더십 유형과 관련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what is to relate between MBTI and Strong Korean version.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based on the 324 female teachers of public․private kindergartens. As a measure of kindergarten teachers psychological types, the Korean version of MBTI Form G(Kim & Sim, 1990) and Strong Interest Inventory, the Korean version(Kim, Kim, & Sim, 2001) were used. Data was analyzed correlation and F-test and so on. At the GOT scale of Strong, Extraversion type of MBTI relate with Social scale and Enterprising scale, iNtuitive type relate with Artistic scale, and Thinking type relate with Enterprising scale. At the BIS scale of Strong, Extraversion type of MBTI relate with Military Activities, Athletics, Mechanical Activities, Medical Science, Culinary Arts, Teaching, Medical Service, Public Speaking, Law/Politics, Merchandising, Sales,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Intuitive type of MBTI relate with Science, Music/Drama, and Writing. Thinking type of MBTI relate with Mechanical Activities, Mathematics, Religious Activities, Public Speaking, Law/Politics, Merchandising, Sales,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Data Management. At the PSS scale of Strong, Extraversion type of MBTI relate with Work Style scale and Leadership Style scale, iNtuitive type relate with Learning Environment scale and Leadership Style scale, and Thinking type relate with Leadership Type scal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반편견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
-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개인연수에 대한 요구
- 협동적 집단 원게임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초임교사 모임을 통한 유치원 교사들의 교직생활 이야기
- 전통사회 관련 아동교육 학위논문 경향분석
- 비표준 단위를 이용한 길이측정활동이 유아의 길이측정능력과 수학접근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성격특성과 직업흥미와의 상호관계성
- 자기존중감에 따른 유아의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