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이용수  726

영문명
The Meditating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Traumatized People
발행기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저자명
성순이, 김해란
간행물 정보
『복지상담교육연구』제7권 제1호, 305~3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성인애착 두 차원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과의 상관관계에서 자아분화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외상 경험을 보고한 전국에 거주하는 20세에서 55세까지의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질문지, 성인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아분화 척도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40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과 AMOS 20.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EM)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는 외상 후 성장과 애착불안, 애착회피가 자아분화와는 각각 부적상관이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은 정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애착과 애착회피가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접 경로는 둘 다 부적이었다. 그러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의 직접 경로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분화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인애착이 자아분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간접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분화는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함에도 자아분화 변인이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개인내적인 보호자원으로써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자아분화를 활용한 상담 및 시사점을 알아보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people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self-differentiation. Thus, a research-based path model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ifferentiation i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adult attachment, including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500 adults aged 20 to 55 living in Korea who have had traumatic experiences were measur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adult attachment sca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self-differentiation scale. Of those, 402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0.0 and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s among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dult attac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dentifies that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ile research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limited.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counseling practices, its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순이, 김해란. (2018).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 (1), 305-329

MLA

성순이, 김해란. "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1(2018): 305-3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