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이용수 726
- 영문명
- The Meditating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Traumatized People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성순이, 김해란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7권 제1호, 305~3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성인애착 두 차원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과의 상관관계에서 자아분화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외상 경험을 보고한 전국에 거주하는 20세에서 55세까지의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질문지, 성인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아분화 척도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40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과 AMOS 20.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EM)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는 외상 후 성장과 애착불안, 애착회피가 자아분화와는 각각 부적상관이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은 정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애착과 애착회피가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접 경로는 둘 다 부적이었다. 그러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의 직접 경로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분화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인애착이 자아분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간접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분화는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함에도 자아분화 변인이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개인내적인 보호자원으로써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자아분화를 활용한 상담 및 시사점을 알아보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people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self-differentiation. Thus, a research-based path model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ifferentiation i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adult attachment, including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500 adults aged 20 to 55 living in Korea who have had traumatic experiences were measur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adult attachment sca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self-differentiation scale. Of those, 402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0.0 and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s among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dult attac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dentifies that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ile research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limited.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counseling practices, its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이 학업중단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
- 감정노동자의 감정부조화와 직무스트레스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글래서(Glasser)의 선택이론에 기반 한 청소년용 내-외부통제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전문계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 학업성적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어머니의 지혜와 자녀의 행복: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자원봉사자에 대한 복지관의 자원봉사 심리적 계약 이행이 자원봉사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관련 변인과 대인관계와의 관계에서 자기개방의 조절효과
- 한국의 아동학대예방 정책의 개선방안: 외국의 아동학대예방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 아들러(Adler)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자기격려 셀프카운슬링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대인관계,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 소년의 학업스트레스, 갈등적 친구관계 및 심리적 불안감과 문제행동의 구조관계: 성별 및 학교급별의 다집단 분석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 마음챙김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 자유선택활동 후 이루어지는 놀이평가활동이 만5세 유아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
- 농촌지역 거주 청소년이 인식한 ‘농촌성’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 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