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후기 대학생의 부모와의 분리-개별화 과정 관련변인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30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Late Adolesc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은지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1권 제1호, 47~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후기 대학생 시기의 부모와의 분리-개별화과정의 심리적 변인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청소년 대처 변인의 매개적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충남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 432명으로 하였고, 연구도구로는 청소년 후기 개별화(K-LAIQ), 자아존중감(RSE), 청소년 대처(YCS), 진로결정수준(CDS)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Windows 18.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한 후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예측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 청소년 시기인 대학생의 분리-개별화 과정에서 독립변인인 청소년 후기 개별화 변인은 종속변인인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변인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독립변인인 청소년 후기 개별화 변인의 매개변인으로서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대처 변인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독립변인인 청소년 후기 개별화 변인의 매개변인으로서 간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cop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432 students from college students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nam region. Korean-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Rosenberg Self-esteem Scale, Youth Coping Scale, Career Decision Scale were implemented. To analyze data, SPSS windows 18.0 program was employ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lso, by using AMOS 18.0 program, the study conducte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confirmed effect of prediction variable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he separation-individuation process of late adolescence college students,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showed a direct influence on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condly, self-esteem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s well as indirect influence as a mediator variables of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Thirdly, youth coping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s well as indirect influence as a mediator variables of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