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일본의 현행 중학교 이과 커리큐럼의 비교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孔泳泰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3권 제2호, 121~14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중학교 과학 커리큘럼을 의도된 커리큘럼, 실시된 커리
큘럼, 달성된 커리큘럼으로 크게 나누고 각각의 분석준거에 따른 비교연구이다.
의도된 과학 커리큘럼의 비교결과, 양국은 함께 과학 학습량을 감축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강조하고,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의 능력에 따른 지도의 충실과 목표와
평가의 일체화를 꾀하는 공통점이 보였다. 하지만, 과학학습목표와 학습내용 및 학습
지도방법의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차이점도 있었다. 실시되어진 과학 커리큘럼의 비교
결과, 양국은 함께 재량 활동시간과 선택교과의 시간에 과학을 선택시키고 있었다. 또
한 새롭게 편찬된 교과서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컴퓨터 통신망의 화룡에 관한 내용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어있으나 이의 정도에는 차가 보였다. 달성되어진 과학커리큘럼의
비교에서는,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한국과 일본 교원간의 만족도에도 차가 보였다. 또
한, 컴퓨터 통신망의 활용의 강조에 따라, 학교교육의 정보화가 진행되고 있고, 또한
과학교원양성의 교육과정에도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일본의 과학교육의 운영에서 나타난 실천사례 가운데
한국의 과학교육과정의 운영에 도움이 되는 과학교과의 효과적인 학습지도요령의 운
영, 단원선택의 설정, 선택교과로서의 과학교과의 운영, 개인에 따른 지도의 충실 등
의 시사점이 얻어졌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일본의 현행 중학교 이과 커리큐럼의 비교 연구
- TIMSS2003에 의한 韓?과 日本의 초등학교 4학년의 이과 도달도의 비교
- 한국의 국립대학 개혁에 관한 연구 - 일본제국과 한국의 학벌주의 교육풍토를 중심으로 -
- 日本の?育行政改革の動向と展望
- A Comparative Study of Caregivers Child Rearing Conscious in Korea and Japan
- 고려 ‘무신’ 정권과 가마쿠라(鎌倉) 막부 ‘무사’ 정권의 비교를 통한 역사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 국가별 영재교육정책과 영재성에 대한 비교 연구: 일본 영재교육의 발전방향
- 일본의 초·중 일관교육을 통한 의무교육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중앙 및 지방 교육행정 체제 연구
- 일본의 대학 자율화와 대학입시 -도쿄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