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대학 자율화와 대학입시 -도쿄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4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란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3권 제2호, 6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새정부 출범 이후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입 자율화 방안의 구
체적 실현을 위한 논의의 토대로 일본의 대입 정책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일본은
1990년대 이후부터 규제개혁, 대학설치기준의 대강화 등, 대학 자율화를 추진하면서
입시에서도 추천입학, AO(Admission Officer: 입학사정관제)입시 등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학령인구의 감소로 지방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정원미충원 비율이 증가하고 있
으며 수험생 의식변화로 인한 대학?학부의 양극화와 학력저하 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의 대학을 선도하고 있는 도쿄대학에서는 도쿄대학의 비전
에 맞는 우수학생 선발을 위해 고교-대학 연계와 홍보를 통해 대학의 목표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학부의 목적에 따라 입시과목 및 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다. 또한 입시
와 대학에서의 수학능력과의 관련을 지속적으로 평가함으로써 끊임없이 대입전략을
개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를 통해 대입자율화를 통
한 대학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첫째, 대학 기능에 따른 입시의 유형화, 둘째, 학력보
장을 위한 평가제도의 마련, 셋째, 고교-대학 연계의 강화, 넷째, 경영 재생 지원 방안
의 마련, 다섯째, 대학평가기준의 확립 필요성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일본의 현행 중학교 이과 커리큐럼의 비교 연구
 - TIMSS2003에 의한 韓?과 日本의 초등학교 4학년의 이과 도달도의 비교
 - 한국의 국립대학 개혁에 관한 연구 - 일본제국과 한국의 학벌주의 교육풍토를 중심으로 -
 - 日本の?育行政改革の動向と展望
 - A Comparative Study of Caregivers Child Rearing Conscious in Korea and Japan
 - 고려 ‘무신’ 정권과 가마쿠라(鎌倉) 막부 ‘무사’ 정권의 비교를 통한 역사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 국가별 영재교육정책과 영재성에 대한 비교 연구: 일본 영재교육의 발전방향
 - 일본의 초·중 일관교육을 통한 의무교육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중앙 및 지방 교육행정 체제 연구
 - 일본의 대학 자율화와 대학입시 -도쿄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로
 - 차이를 넘어 기여로: 상호의존 신학에 기반한 유아의 공동체적 가치
 - 모든 유아가 만들어가는 통합교육: 다름・나름・가름・바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