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혼가정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190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fine arts therapy for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bility - focused on the children of divorced famil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곽효정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9권 제2호, 171~19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에서 여성가구주의 비율이 15%에 달하고 있으며 사별로 인한 편모가족은 1960년과 1990년 사이에 2.6배 정도로 증가하는 반면 이혼 가구주 수는 5배나 증가하여 이혼가정의 아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어지고 있다(최선남 • 현온민, 1998).
이혼으로 인하여 부부는 아동문제, 경제적인 문제, 정서적인 혼란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이혼은 어린 아동에게 매우 충격적인 경험이므로 원만한 인격형성과 성장발달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히 자아 존중감과 사회성에 상당한 손상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Rogenberg는 이혼, 별거가정의 아동들은 일반 가정의 아동들보다 대부분 자아개념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김태현. 1991). 우리 나라에서도 일반 가정의 아동에 비해 이혼 가정의 아동의 자아개념이 낮게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양연순, 1994).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report the cases helpful to cases with and troubleshoot lots of difficulties in home, school, church community by improving the low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children in divorced family with fine art therapy 2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hild A and B are siblings and 8-year-old girls as Pllpils at 2nd grade in elementaty school respectively. In home and church community, 2 children often read their mom’ s face with
keeping her unseparable. They are also left out in the cold from their cornrades in church and school community. even showing the attitude of speechless nodding to the question of teachers. Upon the first visit to church, they were speechless and expressed their mind with nodding or shaking their head until next 3 months After 3 months, they also expressed little of voluntary speech or actions Due to these problems, the test was proposed to this researcher and lt was perfonned for 2 hours at 2 times per week (totalIy 19 times). After fine arts therapy, 2 children had an enhanced self-esteem and sociability in home, school and church community respectivel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음악심리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마음 건강, 마음 읽기, 마음 챙김에 미치는 영향
- 음악치료사 역량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노래 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경력단절 전업주부의 자기효능감 및 정서 변화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