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과 성격 유형(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유형 분석과 교수전략 개발
이용수 132
- 영문명
- Analysing participation types and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ies of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y considering learners' goal orientation and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이은철, 윤중오,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2권 제4호, 43~6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과 성격 유형(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위키 협력학습을 위한 교수 전략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모 대학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는 석, 박사 학생 32명이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의 성취목표 지향성(숙달목표 지향성, 수행접근목표 지향성, 수행회피목표 지향성)과 자존감을 학기가 시작하는 첫 주에 측정하고 14주 동안 위키를 사용하여 협력학습을 수행하였다. 위키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전반부를 제외하고 후반부 7주간의 팀별 활동을 9개의 참여 유형으로 구분하여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성취목표 지향성 및 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및 단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의 하위 구인인 숙달목표 지향성은 협력학습의 참여 유형 가운데 새로운 내용: 주제, 타인 글에 내용 추가, 본인 글에 내용추가, 본인 글에 내용 수정, 새로운 내용: 의견 제시, 본인 글 교정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수행접근목표 지향성은 본인 글에 내용 추가, 타인 글에 내용 수정, 타인 글에 내용 수정에 부적 영향을 주었고, 수행회피목표 지향성은 새로운 내용: 주제, 본인 글에 내용 추가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성격 유형인 자존감은 본인 글에 내용 수정에는 정적 영향을 주었고, 타인 글에 내용 추가, 새로운 내용: 의견 제시에는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위키 협력학습을 위한 집단 구성 전략, 과제 유형 제시 전략, 안내 제시 전략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rticipation types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students’ goal orientation and self-esteem and to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e purpose, 32 graduate students of two semesters participated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tasks. At the beginning of each semester,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goal orientation survey and self-esteem scale. Students participated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very week during each semester, but the later part(8-14th weeks)’s data were only used for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mastery oriented learning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adding new contents, elaborating their own or other’s contents, correcting their own or other’s contents ,and suggesting ideas.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elaborating their own or other’s contents, and correcting other’s contents.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ho have high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adding new contents, and elaborating their own contents. Students’self-esteem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participation types of correcting their own contents, but it did negatively on those of elaborating other’s contents and suggesting ideas. Finally, there searchers suggest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교원의 수업전문성 인식 조사 연구와 시사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중심으로
- PISA 2003 문제해결력 영역에 대한 성별 차별기능문항 추출
- 비교과 교사의 평가 전문성 분석
- 학교중심 블렌디드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동기적 성향(성취목표 지향성)과 성격 유형(자존감)에 따른 위키 협력학습 참여유형 분석과 교수전략 개발
- 초등학교 ‘유러닝교실’에서 교수학습실천의 변화와 문제점
- 외적 보상, 내.외재동기, 과제유형이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과 교육요구도 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 인식 함양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 스마트폰 기반 사회네트워크 서비스 활용수업 사례연구: 의사소통 내용 및 도구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에서의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의 학사 혁신 현황과 개선 방향 탐색: 수도권 대학 학사 업무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 중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진로상담 역량: 진로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수업에서의 디지털기기 활용과 학생 참여형 수업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