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사회교과에서의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88
- 영문명
- Effects of Content-Surveying Training on Motivation,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추미화,봉미미,우연경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2권 제1호,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학습의 기본 자료인 교과서의 목차를 활용함으로써 제시된 정보를 구조화하고 핵심내용을 미리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초등 사회교과의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한 사회과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목차를 활용한 훑어보기 훈련을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은 전략 훈련 없이 일반 사회과 수업을 21차시에 걸쳐 전개하였다. 실험 결과, 목차 훑어보기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비교집단의 학생들에 비해 학습동기 변인 중 과제가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학업에서의 숙달목표 추구 정도와 사회교과에 대한 흥미 및 자기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목차 훑어보기 훈련은 또한 학습자의 인지조절전략 및 행동조절전략 사용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가 사회과의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높이는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urveying strategy using tables of contents in textbook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The participants were one-hundred and twenty fourth graders from four classes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Two classes each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condition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raining on how to use the table of contents during the social studies class over twenty-one class periods. In contrast,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conventional text-book oriented instruction during the same class periods without any training. The content-surveying strategy training demonstrated its effects on students’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task-value scores than did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lso reported significantly greater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However, the content-surveying strategy training fell short of cre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achievement test scor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박물관을 활용한 학교문화예술교육 수업사례연구
- 사이버대학과 일반대학의 이러닝 상호작용 비교 연구
- 학습자의 수업 참여 측정도구 개발
- 찬반 논쟁 협동학습이 비판적 사고력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 아이오와대 초등교사 양성 과정의 특징과 질 관리 방법
- 초등 사회교과에서의 목차 훑어보기 훈련이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성차에 따른 교사의 ICT 활용 유형 연구
- 이명박 정부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시행에 관한 정책 상황 분석 - A-VICTORY 모형을 중심으로-
- 대학 전공 공부에 필요한 계열별 고교 선수교과목 분석
- 중등 교사가 인식한 현재 교실의 문제점과 미래 교실에 대한 기대에 관한 연구
- 경제적 가치 추정을 통한 전문상담교사제도의 성과분석
-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목표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말과 행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