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고등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이해: 연구 성과 검토와 미래 전망
이용수 331
- 영문명
- A Sociology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Review of the Studies and projecting the future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저자명
- 김기석
- 간행물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제22권 제4호, 25~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1.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사회학 관점에서 한국 고등교육의 변천과 특질 형성을 탐구하는 일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 논문은 한국과 영어권 국가에서 최근 상당한 성과가 축적되고 있는 고등교육을 대
상으로 한 교육사회학연구의 재고조사와 최근 동향을 검토하였다. 앞으로 우리 학계에서 다룸
직한 연구 과제를 전망해 보았다. 영미권에서의 연구는 종래 기초교육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고등교육으로 확대하였기에 주요 과제나 쟁점은 일관되어 있다. 교육과 사회계층,사회이동을
중심축으로 하여 기회평등, 선발, 성평등, 불평등 재생산, 대학생활 효과 연구, 학자 직업화 연
구, 조직과 제도로서 대학, 학문의 자본화 등 영역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 주고 있다.
다소 시차를 두고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한국에서의 고등교육연구도 핵심 주제는 영미권과
같으나 한국 특유의 현상을 다룬 연구가 추가 되었다. 만민고등교육의 도래나 연구대학의 급
속한 국제순위 상승이 그것이다.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새 지식과 질서의 집단 창조
기구로 한국 대학의 독특성을 밝힐 필요도 있다. 만민고등이란 현상에서 대학과 경제 간의 불
일치 분석도 필요하다. 한국 고등교육 특유 현상에 대한 탐구는 국제경쟁력 있는 성과를 축적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view examines partially the state of the arts in the sociology of higher education
home and abroad, by exploring major findings and critical issues that require further, targeted
study, and with a specific focus o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urrent research. The sociology
of higher education has developed greatly from its nascent stages and is currently influenced by
several distinctive schools of thought particular to the Korean context: expansion of
opportunities; quality of education; social stratification; reproduction of inequality over
generations; gender inequity; linkage between school and work; and public policy analyses. In
addition to using the well-established empirical methods, many sociologists extend their
approach to ethnographic, comparative, and historical analyses. My goal is to facilitate new
theoretical insights and research questions, with an aim to scale up the global competitive edge
of research by Korean sociologists of tertiary educ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교선택제가 배정결과만족도 및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학생인권은 교권에 대립하는가?: 교권 대 학생인권 프레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고등교육 기회의 수급격차와 개방형 고등교육의 팽창: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교육기회 확대과정을 중심으로
- 1970년대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의 ‘공부’ 경험과 가부장적 젠더규범
- 한국의 문화자본 연구 동향 분석: 경험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 고등교육의 교육사회학적 이해: 연구 성과 검토와 미래 전망
- 한국사회의 교육적 동질혼 분석: 1966~2010
- 모(母)의 경제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도구변수를 활용한 인과관계 분석
- 전공계열에 따른 대졸자 노동시장 성과의 결정요인: 인문ㆍ사회계열과 자연ㆍ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