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 효과
이용수 127
- 영문명
- Moder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on negative emotionality and problem behavior in preschoole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이미나 김경숙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17권 제2호, 39~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3~5세 458명이며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의도적 통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on the affect of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problem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8 children aged 3 to 5, who were in kindergarten in Gyeonggi provinc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in chil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ffortful control which affects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internalizing,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suggests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