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도(溫度)가 가토(家兎) 폐포표면(肺胞表面) 활성물질(活性物質)의 활성도(活性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Activity of Pulmonary Surfactant of the Rabbit
- 발행기관
- 대한생리학회
- 저자명
- 권굉보(Kwon, Koing-Bo)
- 간행물 정보
- 『대한생리학회지』제7권 제2호,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온도(溫度)에 대(對)한 폐포표면활성물질(肺胞表面活性物質)의 활성도(活性度)의 태도(態度)를 구명(究明)코져 가토(家兎)의 좌측(左側) 폐장(肺臟)을 적출(摘出)하여 생리적(生理的) 식염수(食鹽水)로 폐포세척액(肺胞洗滌液)을 작성(作成)하여 4 C에 1, 5, 10, 15, 30 및 40일간(日間) 방치(放置)한 군(群)과 20 C에 1, 2, 3, 4, 5 및 7일간(日間) 방치(放置)한 군(群) 및 정상가토(正常家兎)를 4 C에 4, 8, 12 및 24 시간(時間) 노출(露出)한 후(後) 좌측(左側) 폐장(肺臟)을 적출(摘出)하고 폐포세척액(肺胞洗滌液)을 작성(作成)한 군(群)에서 그 표면장력(表面張力)을 측정(測定)하여 정상가토(正常家兎)의 그것과 비교(比較)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정상가토(正常家兎)의 폐포세척액(肺胞洗滌液)의 최대(最大) 및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및 stability index는 각각(各各) 52.5±2.3, 4.9±2.3 dynes/cm 및 1.65였다. 2) 4 C에 1, 5, 10, 15, 30 및 40일간(日間) 방치(放置)한 폐포세척액(肺胞洗滌液)의 최대(最大) 및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 및 stability index는 각각(各各) 정상군(正常群)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여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40일군(日群)에서는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의의(意義)있는 변화(變化)는 아니었다. 3) 20 C에 1, 2, 3, 4, 5 및 7일간(日間) 방치(放置)한 폐포세척액(肺胞洗滌液)의 최대표면장력(最大表面張力)은 뚜렷한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으나 제 7 일(第 7 日)에 약간(若干) 증가(增加)하였으며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은 제 2 일(第 2 日)부터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어서 제(第) 5 및 제 7 일(第 7 日)에는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stability index는 현저(顯著)히 감소(減少)하여 제(第) 5 및 제 7 일(第 7 日)에는 각각(各各) 0.71 및 0.53이었다. 4) 4 C에 4, 8, 12 및 24시간(時間) 노출(露出)한 가토(家兎)에서 얻은 폐포세척액(肺胞洗滌液)의 최대(最大) 및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 및 stability index는 각각(各各) 정상군(正常群)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여 큰 변화(變化)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제(第)12시간(時間)에서 최소표면장력(最小表面張力)이 약간(若干)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제(第)24시간(時間)에는 다시 정상군(正常群)의 그것과 비슷한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ough it has been reported by Clements et al. and Avery et al. that the activity of the pulmonary surfactant can be altered by the temperature changes, a conclusive evidence of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surfactant system of the lung is yet to come. In the present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observe possible effects of a few different degrees of temperature on the activity of the pulmonary surfactant of the rabbit in vivo and in vitro. The rabbit was sacrificed by blood shedding and both lungs were completely removed. The lung washings, obtained by gently lavaging the left lung with saline, was placed at 1) 4C for 1, 5, 10, 15, 30 and 40 days, and 2) 20C for 1, 2, 3, 4, 5 and 7 days for in vitro experiment. For in vivo experiment, the rabbit was placed at 4C for 4, 8, 12 and 24 hours, and the lung lavage was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n the in vitro experiment. Tension-area (T-A) diagram of the lung lavage was recorded automatically by a modified. Langmuir-Wilhelmy balance with a synchronized recording system. The surface tensions thus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rabbit,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aximal surface tension, minimal surface tension and stability index of the normal rabbit lung lavage were 52.5±2.3 dynes/cm, 4.9±2.3 dynes/cm and 1.65, respectively. 2. In the group where the lung lavage was placed at 4C in vitro, the maximal and minimal surface tensions, and stability index did not show any noticeable changes comparing with the normal values up to 30 days. On the 40th day of the experiment, a tendency of a slight increase in the surface tensions was observed but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3. When the lung lavage was placed at 20 C in vitro, the maximal surface tension did not show any appreciable change comparing with the normal except on the 7 th day with a slight increase. The minimal surface tension showed an increased value from the 2nd day, and on the 5 th and 7 th experimental day, markedly increased value was observed. The stability index, on the other hand. showed a marked decrease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 with the value of 0.71 and 0.53 on the 5th and 7 th day, respectively. 4. In the group where the rabbit was placed at 4 C in vivo, the maximal surface tensions and stability index of the lung lavage showed little change from the normal. The minimal surface tension at 12 experimental hour showed a slight increase, but it returned to the normal value at 24 hou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감신경성 수용체 차단이 Digitalis독성에 미치는 영향
- 급성실혈시의 회장운동과 흡수기능
- 온도(溫度)가 가토(家兎) 폐포표면(肺胞表面) 활성물질(活性物質)의 활성도(活性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 백부자(白附子)가 혈압(血壓), 호흡(呼吸) 및 시상하부(視床下部)의 전기자극(電氣刺戟)에 의(依)한 심맥관계반응(心脈管系反應)에 미치는 영향(影響)
- Reduced Glutathione의 In Vitro 첨가(添加)가 마우스간조직(肝組織)의 내재(內在) NP-SH 및 NP-SS에 미치는 영향(影響)
- Ethanol이 식염성고혈압(食鹽性高血壓) 유발과정(誘發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
- 인삼이 흰쥐의 일반활동에 미치는 영향
- 가토(家兎) 외경동맥(外經動脈)의 신장도(伸張度)에 대(對)하여
- Vasopressin의 멜라닌 확산작용에 대하여
- 인삼이 흰쥐의 물 및 먹이 섭취에 미치는 영향
- 가축과 실험동물의 생리자료(9)-3 -제9장 고양이(The cat)-3(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