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정신의학:교육
이용수 14
- 영문명
- Geriatric Psychiatry:Educat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도관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1권 제5호, 778~78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교육과정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제안하였다.
노인정신의학은 노년기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정신질환과 행동장애의 평가, 진단, 치료 및 예방을 주 관심
사로 하는 정신의학의 세부 전공분야이다. 노인정신의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관심사에 대한 전
문 지식과 술기를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는 잘 지도-감독된 임상경험과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
다. 노인정신의학 세부전공 전임의 교육과정의 이수조건은 교육의 목적, 수련기관의 구성, 노인정신의
학 전임의 수련과정을 위한 인적자원, 수련을 위하여 필요한 시설 및 임상환경(clinical setting), 그리
고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수련과정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한다. 노인정신의학 분야의 체계적
인 교육을 위해서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행해 가면서 핵심의 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우리나라 현실
에 맞게 정착 시켜 나가야 한다. 노인정신의학 전임의의 수련기간은 수련자의 요구도에 따라서 1년 과정
이 될 수도 있고, 2년 과정이 될 수도 있다. 1년 과정의 노인정신의학 전임의 교육프로그램은 임상훈
련에 주된 역점을 두는데 비해서, 2년 과정의 교육프로그램은 임상훈련 뿐만 아니라 연구 영역에서의
훈련에도 역점을 두는 전문가 교육과정으로 설계된다. 교육 프로그램은 훈육적인(didactic) 강의식 요소
와 창의적이고 실험적인(experimental) 요소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훈육적인 강의식 교과과정에서는
노화의 정상적인 면과 병리적인 면, biopsychosocial model을 사용한 노인환자들의 평가와 치료를 위한
새로운 개념과 지식 등을 중심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실험적인 교과 과정에서는 노인환자들을 경험하면
서 임상가로서의 숙련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requirements for fellowship program in geriatric psychiatry in Korea has been proposed. Geriatric
psychiatry is that area of psychiatry which focuses on prevention, diagnosis,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and disturbances seen in old adult patients. An educational program in geriatric
psychiatry must be organized to provide professional knowledge and well-supervised clinical experience.
Educational goals, institutional organization, faculty and staff, facilities and clinical setting, and educational
programs were covered in this article. The program requirements in Korea should be modified
based on the environment and readiness with respect to the facilities and human resources. The
fellowship period may be for one or two years,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trainee. The one year
program emphasizes clinical training while the two year option combines clinical and research training.
The program has both didactic and experimental components. The didactic curriculum addresses normal
and pathological aspects of aging, as well as current concepts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using the biopsychosocial model. The experimental component provides clinical and
research experience in geriatric psychiatry.
목차
서 론
노인 정신의학 세부전공 전임의 교육과정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정신의학 연구의 발전 방향:알쯔하이머병을 중심으로
- 초발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용적 분석
- 정신분열병에서 Interleukin-4 시발자와 Interleukin-4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 Exploring Sources of Life Meaning among Koreans
-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핀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I) - 치료 효과 비교 -
- 항정신병약물 사용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올란자핀으로의 교체 방법에 관한 연구(Ⅱ) - 안전성 비교 -
- 노인정신의학:개요
- 자기보고식 해밀턴 우울척도의 문항특성
- 정신분열병과 Heat Shock Protein 70 유전자 다형성과의 관련
- 한국 노인정신질환의 현황
- 노인정신의학의 과거와 미래
- 알쯔하이머형 치매 12례에서의 뇌혈관류결손에 대한 종적관찰
- 노년기의 창의성
- 노인정신의학:교육
- 독시사이클린이 저산소 조건에서 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
-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해 유발된 당뇨병 증례
- 남성 동성애자와 남성 이성애자의 삶의 질과 정신 건강 비교
- 신경발생과 정신의학 -기분장애를 중심으로-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Estrogen Receptor 1 유전형과 Apo E ε4 대립유전자의 상호 작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취업불안이 청년 구직자 및 이직자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