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이 기억 검사:새로운 간편 기억 장애 선별 검사
이용수 15
- 영문명
- Mini-Memory Test (MiMeT):A New Brief Memory Screening Test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종한 김희철 김재현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3권 제3호, 337~34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Development of the Mini-Memory Test (MiMeT).
Methods:Subjects were 332 memory-impaired and 354 memory-unimpaired psychiatric patients. Discriminant valid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ere employed for the validity test.
Results:In the memory-unimpaired group, the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sex on MiMeT scores were either statistically insignificant or negligiblely little if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ubtest scores ranged from .444 to .673. The Cronbach’s α was .790. The subtest and total scores were much lower in the memory-impaired group. Correlations of the total score to Barthe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lessed Dementia Rating Scale, Short Form of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Lawt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Impairment Diagnosing Instrument were between .287 and .790 in the
memory-impaired group. The MiMeT’s AUC was .964 an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total score were .916 and .887, respectively, at the cutoff of 17/18. Diagnosis alone was able to account for 61.2% of the variation. Inclusion of age, education and sex in the linear multiple regression increased it to 63.5% only.
Conclusion:Performances of the MiMeT, a brief and easily administrable test for memory screening, is affected little affected by age, education and sex. It is reliable and valuable for detection of memory impairment in the elderly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한 내 북한 이탈 주민의 자아방어기제 연구
-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이 투여된 정신과 환자들에서 간 효소 변화에 대한 후향적 연구
- 학술지“신경정신의학”의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개발
- 도파민/세로토닌 길항성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 치료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체중 증가의 관련 요인
- 인지적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개발
- 간이 기억 검사:새로운 간편 기억 장애 선별 검사
- 한국판 알바니 공황-공포 질문지 타당화 연구
- 정서적 불안정을 동반한 PANDAS 1예
- 지난 2년간의 학회지“신경정신의학”심사 평가보고
- 정신분열병에서 TAP2 유전자의 다형성
- Hemiballism-Hemichorea Movement Disorder 1예
- 정신분열병에서 결핍증후군의 진단적 안정성 평가:5년간 추적 조사
- 치료저항성 환청을 지닌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특성 및 신경인지기능
- 공황장애에서 Paroxetine 단기약물치료가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정신과와 신경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