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알바니 공황-공포 질문지 타당화 연구
이용수 159
- 영문명
- A Validation Study of Korean Albany Panic and Phobia Questionnaire(APPQ)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지혜 양종철 김정범 임기영 이소영 유범희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3권 제3호, 329~3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The Albany Panic and Phobia Questionnaire (APPQ) was developed to assess fear of activities that may elicit physical sensation in panic patients. There are three subscales (Agoraphobia, Social phobia, and Interoceptive fear) in the scal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PPQ in Korean population.
Methods:One hundred thirty five panic patients and 135 community samples an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completed a psychometric assessment package which included APPQ, ASI-R, ACQ, BSQ, BAI, BDI.
Results:1) APPQ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95) and high test-retest reliabilities (r=.77).
2) APPQ showed moderate correlations with ASI-R (r=.67), ACQ (r=.67), BSQ (r=.59) and BAI (r=.64). 3)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3 factors (Agoraphobia, Social Phobia and Intorceptive fear). 4) Panic patients (with or without agoraphobia) had significantly higher sores of the APPQ interoceptive subscale than the community samples (F(2,27)=24.27, p<.001).
Conclusion:We found that APPQ and its 3 subscales carry valuabl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vergent and construct valid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Q is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to assess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남한 내 북한 이탈 주민의 자아방어기제 연구
-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이 투여된 정신과 환자들에서 간 효소 변화에 대한 후향적 연구
- 학술지“신경정신의학”의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 개발
- 공황장애에서 Paroxetine 단기약물치료가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치료저항성 환청을 지닌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특성 및 신경인지기능
- 정신분열병에서 결핍증후군의 진단적 안정성 평가:5년간 추적 조사
- 정신분열병에서 TAP2 유전자의 다형성
- 도파민/세로토닌 길항성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 치료 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체중 증가의 관련 요인
- 지난 2년간의 학회지“신경정신의학”심사 평가보고
- 인지적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개발
- 한국판 알바니 공황-공포 질문지 타당화 연구
- 간이 기억 검사:새로운 간편 기억 장애 선별 검사
- Hemiballism-Hemichorea Movement Disorder 1예
- 정서적 불안정을 동반한 PANDAS 1예
- 정신과와 신경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