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7분 선별검사(7 Minute Screen Test) 각 하위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
이용수 71
- 영문명
- Clinical Efficacy of the Individual Tests in 7 Minute Screen Test(7M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구형모 김지혜 고선규 고혜정 이형석 김상윤 김도관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4권 제2호, 253~25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We aimed to provide standard data of the individual tests in 7MS that could generalized for Korean elderly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We also evaluated diagnostic efficacy of each test in 7MS.
Methods:Data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311 normals were gathered for comparison. We also assessed two differences between normal and dementia group in individual tests of 7MS.
Results:All individual tests of 7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and education, except for EC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controlling age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ROC curve, the ability of the ECR test to discriminate between AD and normal subject appeared superior. The scores of the individual tests of 7MS among CDR 0.5 and 1 group and normal group were compared. It was also found that the ECR test stands out among 7MS tests.
Conclusion:The 7MS, particularly ECR, had the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iagnosis of AD as well as early dementia.
It suggests that the individual tests of 7MS are useful to predict early dementia, without using the complex logistic regression equation.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 공포증과 공황 장애의 기능장해 비교연구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두개자기자극치료
- 한국인에서 5-HT1Dβ 유전자다형성과 성격 특성
- 7분 선별검사(7 Minute Screen Test) 각 하위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
- 산후의 우울 증상과 연관된 심리사회적 및 산과적 변인
- GABAAα6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알코올 금단 증상의 발현 차이
- 한국인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알코올 대사 효소 유전자형 빈도의 남녀 차이
- 노인에서 정서 인식의 저하
- 정신과에서 심박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의 이용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수면
- 급성 조증에서 기분안정제와 리스페리돈의 병합 투여 효과: 다기관 개방연구
- 지역사회 아동에서의 과체중 및 비만의 정신병리
- 우울증 및 정신병적 증상을 보인 베체트병 환자 3예
- 공황장애에서 Paroxetine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얼굴 영상의 작동기억 장애:기능자기공명영상연구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에서 Mirtazapine과 Sertraline의 치료효과 및 안정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