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화 수준에 따른 주요 정신질환 유병률의 지역 비교 :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를 이용한 경기도 구리시·양평군 지역 비교
이용수 62
- 영문명
- Prevalence of Main Psychiatric Disorders in Relation to Urbanization in Gyeonggi Province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조성진 오동훈 이지안 최보율 박용천 남정현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0권 제4호, 288~29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ZZ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upplied growing evid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urban/rural division.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ain psychiatric disorders in two areas of Gyeonggi Province of South Korean with different levels of urbanization.
MethodsZZA survey was conducted of the adult population (over 40 years of age) in Yangpyeong-gun (lower level of urbanization ; n=639) and Guri-si (higher level of urbanization ; n=335) in Gyeonggi Province.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K-MINI) was used as a structured psychiatric diagnostic interview instrument.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suicidality, alcohol dependence, alcohol abus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somatoform disorder, bipolar disorder, and schizophrenia were selected as the 8 main psychiatric problems.
ResultsZZThe prevalence of the 8 main psychiatric disorders in Guri-si (25.6%) was higher than those of Yangpyeong-gun (15.1%, p<0.05). In particular, the prevalence of MDD, suicidality, and GAD, which are thought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psychosocial fact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uri-si (p<0.05).
ConclusionZZA greater prevalence of almost all major psychiatric disorders i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urbanization, exceptions being somatoform disorders and bipolar disorder. This urban–rural difference may be related to environmental risk factor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음악 정서 인식
- 자살 시도 후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들의 정신과 협진 후 추후 관찰
- 정신분열병 외래 환자가 경험하는 낙인에 미치는 요인
- 안면화상 환자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불안의 정도
-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는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동반되는 베르니케 뇌병증의 선별 및 치료
- 도시화 수준에 따른 주요 정신질환 유병률의 지역 비교 :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를 이용한 경기도 구리시·양평군 지역 비교
- 불안장애 및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우울 증상의 차이
- 남자 소방공무원의 외상적 사건 경험과 알코올 사용과의 관련성
- 도파민 시스템과 항정신병 약물의 작용에 대한 이해
- Images in Psychiatry
- 수면무호흡증후군과 우울증상을 가진 환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