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의 인지기능 결함
이용수 154
- 영문명
- Cognitive Impairments in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민경 이은정 김희철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1권 제2호, 70~7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ZZ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gnitive impairment between depressive disorder and bipolar disorder.
MethodsZZParticipants were adults between the ages of 18 and 65, and included 40 healthy control subjects, 40 outpatients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and 35 outpatient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s (FIQ)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he levels of Memory Quotients (MQ) were yielded on a Rey-Kim Memory Test, and executive functions were assessed using Kim’s Frontal-Executive Function Test. Scores of each scale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using ANOVA.
ResultsZZWith respect to FIQ,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 block design, object assembly, Executive Intelligence Quotient, Stroop test-interference trial, verbal fluency, design fluency, MQ, and recall,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and bipolar disorder patients showed similar results, and both patient groups were impaired compared to normal controls.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Digit Symbol and the Stroop Test than both normal control and bipolar disorder groups did. The bipolar disorder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the Verbal Learning Test and Recognition task than both the normal control and depressive disorder groups did.
ConclusionZZA similar deficit profile was observed in both patient groups, involving poorer visual-spatial funct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overall executive function/memory. Depressed patients showed particular difficulties with tasks requiring sustained effort, such as word learning and free recall. In contrast with depressed patients, Bipolar patients showed particular difficulties with higher conceptualization, selective attention/control, and recognition.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