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자살사고와 우울 수준에 따른 MMPI-2 프로파일 비교와 우울 및 자살사고 예언지표
이용수 256
-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n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nd MMPI-2 Profiles of Groups with High and Low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Psychiatry Patients and Discriminant Variable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허은혜 정성훈 강희양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7권 제1호, 86~9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sychological test profile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and low depression/suicide ideation and to identify predictor variables for depression/suicide ideation.
Methods
Component scores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were compared using t-tests.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predictor variables of depression/suicide ideation.
Results
Regarding PAI profiles, somatic complaints (SOM), anxiety (ANX), anxiety-related disorder (ARD), depression (DEP), paranoia (PAR), borderline features (BOR), antisocial features (ANT), mania (MAN) drug problems (DRG) score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high depression and high suicide ideation groups. Concerning MMPI-2 profiles, the scores of hypochondriasis (Hs), depression (D), hysteria (Hy), psychopathic deviate (Pd), paranoia (Pa), psychasthenia (Pt), schizophrenia (Sc), social introversion (Si)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se same groups. The PAI and MMPI-2 profile shapes were remarkably similar between high depression and high suicide ideation groups. Therefore, in terms of psychological profil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emed to reflect the same construct. However, in discriminant analysis, significant predictors for depression were found to be Pt and D Sc from MMPI-2, while those for suicide ideation were found to be Pa and Sc, suggest subtle differences.
Conclusion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groups reflected by the psychological test profiles seemed similar, but the determining factors may differ. Thus,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these two groups may have to follow different routes considering these subtle differences.
목차
서론
방법
결과
고찰
결론
Note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경정신의학” 재도약을 꿈꾸다
- 강제입원의 법적 기준에 대한 고찰 : 입원적합성 심사에 참고할 해외 사례의 소개를 포함하여
-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자살사고와 우울 수준에 따른 MMPI-2 프로파일 비교와 우울 및 자살사고 예언지표
-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 영상 검사의 최신 지견과 임상 적용 방법
- 경도인지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중재치료의 임상 실제
- 헤르만 헤세의 우울증, 경건주의, 그리고 정신분석
- 한국의 전통문화와 영성(靈性): 정신의학에의 적용
- 치매 및 인지장애에서의 신경심리평가
- 미세먼지와 인지기능
- 알츠하이머 치매 약물치료의 현황과 미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