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원한 품행장애아의 뇌파 소견에 관한 연구
이용수 41
- 영문명
- EEG Findings in Hospitaliz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정제연 장경준 이영호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35권 제4호, 918~92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7.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onduct disorder has EEG
abnormalities. We studied on the abnormal EEG findings in hospitalized conduct disorder and
compared them to those in psychosis (schizophrenia or mood disorder) and convulsive disorder.
Method : We selected 54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s who were studied with EEG (16
channel Nihon-Koden) at the child-adolescent inpatient war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
1989 through December 31, 1994. The first control group consisted of 41 pateints with
psychosis admitted to the child-adolescent inpatient ward during that period. The seco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 inpatients with convulsive disorders during that period and 31
outpatient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 1993 through December 31, 1994. EEG
recording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degrees of EEG abnormality (Hojin
Myung, 1973) along with chart review. The diagnosis was made on DSM III-R criteria by two
psychiatrists and one psychiatric resident. We analyzed data with one way ANOVA and chisquare
test.
Result :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showed abnormal EEG findings more frequently
than patients with psychosis who are known to show more abnormal EEG findings than
normal population, but less frequently than patients with convulsive disorder. EEG patter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and psychosis. EEG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conduct disorder and convulsive disorder in terms of highly
epileptiform discharge in convulsive disorder.
Conclusion : The authors suggest that one of etiologic factor of conduct disorder may be
related to psychophysiologic fectors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알콜의존 환자에서 음주욕구를 유발하는 조건화자극에 대한 연구
- 身體 微細崎形 및 産科的 合併症과 精神分裂病의 家族歷
- 부신절제가 전기경련 충격에 의한 흰쥐 뇌의 조기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입원한 품행장애아의 뇌파 소견에 관한 연구
- 양성 및 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기능 비교
- 만성 주정중독 환자의 뇌전산화 단층촬영상 뇌위축 소견 및 임상변인들과의 연관성
- 공황 장애 환자의 공황 발작 증상의 특성
-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 Syndrome)의 정신의학적 특징에 대한 연구-우울장애 대 신체형장애
-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다음증과 물중독 위험군의 임상적 특성 -표 준 화 일중체중증가를 이용하여
- 입원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우울 증상과 음성 증상, 추체외로 증상간의 관련성
- 정신과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경기도 연천 지역에서 -
- 정신과 입원환자의 다음증에 관한 연구
- 정신분열병의 사회인구학적 요인 및 임상양상의 성별차이
- 정신분열증과 주요우울장애에서 혈청 면역글로부린과 총용혈보체활성도의 변화
- 酒釘依存 患者에서 末梢神經炎의 電氣生理學的 硏究
-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 간질환자의 정신병리와 생활사건 및 대처방식
- 어린 흰쥐 뇌에서 부신절제가 전기경련 충격에 의한 조기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 흡연에 의한 체성감각유발전위의 변화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터류킨-2 생산능
- 뇌진탕후 증후군 환자의 임상심리학적 특성
- 藥物治療 經過에 따른 꿈變形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