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에서의 음악과 영어 통합교육의 가능성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조사
이용수 169
- 영문명
- A Survey of the Perceptions on Integrating Music and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최은정(Eunjung Choi)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5호, 57~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16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음악과 영어를 동시에 가르칠 수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가능성과 효율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구체적인 통합교육방안의 근거를 제시하는 기초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음악(교육)분야와 영어(교육)분야 관련 종사자, 그리고 일반 대학(원)생과 학부모들을 포함한 56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2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에서 음악과 영어를 동시에 교육할 수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과목의 학습요소가 교육과정에서의 학습 효율성에 직접적으로 높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인식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대상과 그 발달단계에 따른 체계적인 통합교육방법과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그 지도 방향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와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교육체제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outh Koreans on integrating elements of music and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to teach both subjects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continuing research. A cross section of respondents (n=567) from both disciplines, including music educators, English language educators, college students and a limited number of parents, was surveyed with 28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majority (84.8%)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the integration of music and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would be possible. (2) Most respondents believed combined instruction would benefit students learning effectiveness. The data suggest that music educators should explore the ways to synthesize teaching strategies, methods, and curricula from both disciplines to improve competency in both subjects among students at all levels. In addition, future research should help educators practice integrating music and English language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educational system of South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BL을 적용한 음악극 만들기 수업 방안 연구
- 상상력 개발 측면에서 초급 단계 피아노 교재의 보완 방향과 교수 방법에 관한 연구
- 한국에서의 음악과 영어 통합교육의 가능성 및 효율성에 대한 인식 조사
- 서울굿 중 ‘신장타령’의 타이밍에 대한 미시적 분석
-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음악과 사회정서학습(SEL)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 음악 프로그램 참여 강사의 인식조사
- 음악 감상에 따른 뇌파 변화의 측정과 음악적 학습 효과
- SERVQUAL을 이용한 음악교육서비스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백워드 디자인을 통해 본 미국 국가 수준 핵심음악기준의 내용 제시 방식의 의미
- 장편영화 ‘숨바꼭질’에 나타나는 사운드의 기능에 대하여
- 예비음악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태도, 인식 및 효능감 조사연구
- 음악중등교사 임용고시의 분야별 기출문항 분석
- 체르니 100번 연습곡과 비교를 통한 구를리트 연습곡 op. 82의 난이도와 연주기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