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 장애학생을 포함한 초등학교 통합음악수업 프로그램 연구
이용수 303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gram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class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장은언(Eunun Cha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7호, 67~8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16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음악수업 프로그램을 위한 예시로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두 개의 음악수업 지도안은 통합학급 음악수업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반영하여 감상활동, 악기연주와 음악 만들기를 연계하여 구성하였다. 음악수업 지도안의 내용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음악적 특성과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 교수 적합화 이론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통합학급 음악수업 지도방법의 개발을 통해 장애학생 뿐 아니라 일반 학생들, 특히 음악을 어려워하는 일반학생들에게도 유의미한 음악학습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music class program for inclusive music eduation, including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ggested music class program reflects the analysis of the inclusive music eduation, and consiss of two categories. One is “music apprecation education,” and the other is “bridging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s with to compose music.” The music class program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utistic children, the principle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theori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in music edu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meaningful music class throughout the suggested music class program, not only for the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ut also ordiary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music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장애학생을 위한 음악수업 현황
Ⅳ. 통합학급 음악수업 프로그램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화적 역량 모델(Cultural Competence Model)의 특수교육적 함의 탐색
- 중등 특수교사와 사진예술강사의 협력적 사진교육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정다운 학교의 현황 및 과제: 2018-2024 통합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