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청 중심 음악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이용수 15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curriculum for musically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경(Mi Kyung Lee)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39권 제0호, 157~1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진홍법의 제정과 시행 이후 시작된 교육청 중심 음악영재 교육기관의 2009년도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함에 있다. 분석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영재교육과정의 6가지 준거에 따라 조사자료들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전체적인 체계의 부재, 학생들의 개별적 요구에 따른 선택적 개방형 교육과정의 부족,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교수학습 방법의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for the musically gifted are to develop their own potential through the enrichment of subject matters. In addition, the curriculum should have objectives to develop the abilities and attitude of leading the stream of social change, and enhance responsibilities which can establish the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In this study,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curriculum of gifted educational institutes in music area is analysed in line with the general guideline for the gifted curriculum which is developed by KEDI(1999). The general guideline is composed with 6 criteria: th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enrichment programs for developing student`s expertise, the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y, the programs to foster student`s creativity, and it should be the student-centred curriculum to strengthen student`s autonomy and self-confidence, the process and activities-centered curruculum, and open curriculum with enough flexibility. The key findings of analysis are identified by follows: the lack of standards for program designed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music, the lack of flexible grouping of gifted learners for instruction and optional curriculum designed for the diverse individual needs of the gifted students, the lack of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dominated by teacher`s author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