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재능 ( 자질 ) 검사의 실용화를 위한 실험적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유덕희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1권 제0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3.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tudent`s incapability in performing any musical instruments or in composing musical pieces does not coincide with the fact that he is musically inable or nontalented. On the contrary, he could be more musically-born and better adaptable to musical education. Furthermo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e could own very keen sensitivity and be fond of music with his abundant capabillity. Therefore, in musical education, the emphasis should be put more on the improvement of musical sincerity, musical sensibility and talent of the individual, rather than the achievement of technical skills. In this sense, this study, one of the very special aptitude test, is aimed at measuring objectively the degree and level of musical talent. Accordingly, we can measure a student`s six basic abilities of musical talent that is, rhythm, timbre, time, loudness, pitch and tonal memory; plus, tonal movement which deals with musical sense, and pitch-rhythm imagery. We can study these eight areas respectively through analytical measurement and also we can evaluate these synthetically, for each studen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followings: 1. We can test individual tendency of musical talent in each eight areas realatively. 2. We can test individual tendency of musical talent in total. 3. we can find out weak points an individual and devise proper measures for correction and improvement. 4. We can compare the degree of improvement through regular test in every six months or a year. 5. We can use this test as a means of educational research.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