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공포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1)
이용수 24
- 영문명
- A Clinical Study of Social Phobia (1)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시형 정광설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3권 제1호, 111~1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4.02.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linical picture of 52 social phobia cases were studied, who had visited Korea General Hospital,
Seoul, Korea, from M ay 1st, 1982 to July 31st, 1983. Results were as follows:
1. Social phobia patients comprised 2 .2% of the total numbers of total psychiatric outpatient visits.
2. Male patients (34) outnumbered female (18) with ratio of 1. 9: 1.
3. Majority of the subjects (88.5%) were between age range of 15 to 29; 44. 2% of the subjects
were in their late 20s for their first visit to the clinic, and 50% of the women were in their early 20s.
4. Subjects tended to have higher education.
5. In male patients, first and last born were over-represented in the population.
6.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 in its clinical course appeared to be that symptoms were changed in sequential fashion as follows:
7. There was a group of subjects who showed somewhat differents clinical pictures from
social phobia in general, thus termed as borderline Type”. However, further diagnostic
evaluation is warranted for justification of this diagnostic standing.
8. Average number of phobia symptoms at the time of clinic visit were 1.3, while the total
number of phobia in the past were 2. 3, and the total number of transient, interpersonal
anxiety symptoms were 13. 6.
9. As to the oneset of symptoms, those who developed w ith gradual oneset were most
frequent (33cases), and this group showed the best adjustment in their social life.
10, The younger the subjects, the poorer were the social adjustment.
11. It was remarkable that 23% of the cases were totally incapacitated in their social function.
목차
序 論
調査對象 및 方法
結 果
討 論
要 約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綜合病院 精神科諮問의 現況과 轉歸 一 서울大學校病院의 경북 ㅡ
- 정신과 외래통원환자의 투약 방법에 대한 태도
- 精神科專攻醫教育課程 立案•運營經驗 一서 울大學校病院서의 것을 主로 한一
- 精神疾患의 合併 有無에 따른 慢性酒精中毒의 比較考察
- 자살 수행자 및 기도자에 관한 비교연구
- Fluoroacetate (Platol) 중독 증상 연구 — 자살기도자를 중심으로 —
- 정신과 자문에 대한 비 정신과 의사의 견해 및 태도조사
- 정신분열증과 대뇌 비대칭
- 사회공포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1)
- 精神分裂病에서의 血小板 Monoamine Oxidase 活性度와 血發 Estradiol, Progesterone 및 Testosterone의 相關關係에 關한 硏究
-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RH) 및 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TRH) 의 투여에 따른 Prolactin의 반응
- Biological Psychiatry의 최근 동향 ᅳ정서장애의 내분비 계통을 중심으로ᅳ
- 기독교인의 신앙치료에 대한 태도 조사
- 精神科患者의 月經 症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