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가정 아동의 내러티브 기술 향상을 위한 연극 활동 기반 그룹언어치료의 효과

이용수  412

영문명
Effects of Group Language Therapy Using Theatre Activities for Improving Narrative Skill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이승원(Lee, Seoung Won) 이은송(Lee, Eun Song) 배희숙(Bae, Hee Sook)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7호, 157~1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언어발달 지연을 보이는 학령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내러티브 기술 발달 촉진을 위하여 연극 활동을 기반으로 한 그룹언어치료를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가정 아동 6명을 대상으로 어휘력 평가 및 조음 정확도 평가를 실시한 후, 언어발달 지연을 보이는 4명의 아동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기별 60분으로 구성한 연극 활동 기반 그룹언어치료를 총 16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치료 전후의 내러티브 기술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전과 후에 『토끼와 거북이』동화 대본을 각색하여 이야기 다시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거시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이야기 문법 요소를 변인으로 하였고, 미시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담화길이(T-unit, NTW), 어휘다양도(NDW), 문장길이(MLT-w), 결속표지(연결어미, 접속부사, 보조사)를 변인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그룹언어치료 후 참여 아동의 담화길이와 어휘다양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야기 문법 요소와 결속표지는 프로그램 실시 후 사용 빈도가 증가하기는 했어도 그 차이가 유의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담화길이와 어휘다양도 같은 요소는 연극을 기반으로 한 그룹언어치료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반응하지만 이야기 문법이나 결속표지 요소의 촉진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려 내러티브 기술 향상을 위한 그룹언어치료는 좀 더 장기간의 진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group language therapy using theatre activities on narrative skills of language delay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 have performed group language therapy for 16 sessions consisted of one hour program for four language delayed children selected depending on the results of language ability tests (REVT and UTAP) of school 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efore the program, we collected their narrative discourse data through story retelling test using the story “The Tortoise and the Hare”. After 16 session program, we compared their narrative skills. For comparing their narrative skill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we analyzed story grammar elements and the micro structures such as T-unit, NTW, NDW, MLT-w, connective ending, conjunctive adverb, special particles. After the group language therapy, the length of narrative discourse and lexical diversit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eans of variables concerning the story grammar elements and cohesive devices increased. However, the last elements we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s such as discourse length and lexical diversity respond more quickly to the group language therapy using theatre activities, but narrative elements were not. These findings implicate that group therapy for language delayed children need to long-term program for influencing narrative skill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1. 거시구조
2. 미시구조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원(Lee, Seoung Won),이은송(Lee, Eun Song),배희숙(Bae, Hee Sook). (2017).다문화 가정 아동의 내러티브 기술 향상을 위한 연극 활동 기반 그룹언어치료의 효과. 연극예술치료연구, (7), 157-180

MLA

이승원(Lee, Seoung Won),이은송(Lee, Eun Song),배희숙(Bae, Hee Sook). "다문화 가정 아동의 내러티브 기술 향상을 위한 연극 활동 기반 그룹언어치료의 효과." 연극예술치료연구, .7(2017): 157-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