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아동에 대한 부모의 행동양식
이용수 19
- 영문명
- Parental Styles in Relation to Nurse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금연 김영환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5권 제4호, 672~68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6.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to investigate
ideal parental style, (b) to measure parents,perception
of their own parental styles in relation to children,
(c) to access the level of significance that
parents considered about different categories of
parental styles, and (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arental styl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parent and the gender of the child.
In this investigation, 358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who enrolled in 4 nursery schools were
served as subjects.
The author admistrated “parent s report’,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48 items, or 16 categories
of parental behavior which covered the dom
ain of parental styles. In the first, the parent
rated how he or she thought the ideal parent would
act toward the child (the ideal parenting scale). In
the second, the parent was asked to rate how he or
she had actually acted toward the child (the real
parenting scal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ideal parental style, acceptance of child as a
person, child centeredness, sensitivity to feeling,
and positive involvement among positive or socially
desirable categories, and detachment and withdrawal
of relationship among negative or socially undesirable
categories were appeared to be of most
significance. There patterns of results suggest that
parental styles on affective dimension were emphasized
than those on control-discipline dimension.
2) The studied group of parents perceived their
actual parental styles almost the same as their ideal
parental styles. These findings were presumably
based upon the rol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parents orginating from the basic healthy
psychological function, which are im portant elements
in child’s self»acceptance and in his general
personality development.
3)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es
among fatherson, father-daughter, mother-son and
mother-daughter relations, they seemed approximately
similar in parental style. Therefore the gender
of the parent and the chil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arental style.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management of emotional disturbance
and behavioral problem in childhood and further
research efforts were noted.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혼의과대학생들의 성행위에 관한 연구
- 신경증적 장애환자들의 자아주체성에 관한 연구
- 韓凰人의 自家痛症評價에 관한 예비적 조사 一 Zung s Self-Rating Pain and Distress Scale에 의한 一
- 고혈압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에 대한 반응
- 주정중독에서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의 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입원중인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개념 및 태도 조사
- 靑年期 頭部 體感症(Cenesthopathies)의 臨床的 考察
- 신경정신과 노인환자의 임상적 고찰
- 주요우울증환자와 정신분열증환자에 대한 부분수면박탈의 항우울효과
- 유치원 아동에 대한 부모의 행동양식
- 주정중독 환자 배우자의 불안과 우울 성향 및 가정 생활
- 정신치료극이 정신과 입원 환자의 자기 및 타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증 환자에서의 약물치료에 따른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범죄 예측 척도에 관한 예비적 연구
- 사회공포증 집단치료 ㅡ치료경과 및 결과 一
- 항정신병약물로 야기된 장시 정좌불능증의 Propranolol 치료효과에 관한 예비적 연구
- 항파킨손약물로 치료한 토끼증후군 1례
- 정신의학 윤리에 관한 연구- 임상과 관련된 6 가지 윤리학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
- 청소년 Dextromethorphan Hydrobromicle(?渶? 미 라) 남용 6 례
- 한국판 진단적 면담검사들의 객관적인 신뢰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