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증 환자에서의 약물치료에 따른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Dexamethasome Suppression Test in Drug Treatment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승현 정인과 곽동일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5권 제4호, 549~55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6.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authors observed changes in
response to the dexamethasone supprression test
(DST) in depressed patients receiving antidepressants.
Among 20 subjects. 15 were major depression
and 5 were bipolar depression. The 8 of 20 subjects
showed psychotic features, ar^ 12 of them did not
show any psychotic features at all.
All subjects underwent weekly DSTs with simultaneous
clinical ratings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RSD), both at the day of admission
and during treatment. Dexamethasone (Decadron.
lm g) was administered orally at 11 PM on the day
of admission and every Wednesday during subsequent
weeks. Blood samples for DST were collected
at 4 PM and 11 PM on the second day of
admission and every Thursday during subsequent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7 of 20 subjects (35%) were categorized
as nonsuppressors and 13 (65%) were as suppres-scors.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body weight, depressive subtype (unipolar v
bipolar), length of admission, HRSD scores at
admission and discharge, and clinical outcome between
nonsuppressors and suppressors.
3) The results of DST were higher predictably
among nonsuppressors than suppressors at the
time of admission,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time of discharge between these subgroups.
4) The results of DST were higher among subjects
with psychotic features than subjects without
psychotic features at the time of admiss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ST
results at the time of discharge and frequency of
nonsuppressive response for DST between these
subgroups.
5)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statistically
between weekly post-DST cortisol levels in plasma
and simultaneous HRSD scores among nonsuppressors,
but no significant correlaton among suppressors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연 구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혼의과대학생들의 성행위에 관한 연구
- 신경증적 장애환자들의 자아주체성에 관한 연구
- 韓凰人의 自家痛症評價에 관한 예비적 조사 一 Zung s Self-Rating Pain and Distress Scale에 의한 一
- 고혈압 환자의 다면적 인성검사에 대한 반응
- 주정중독에서의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의 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입원중인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개념 및 태도 조사
- 靑年期 頭部 體感症(Cenesthopathies)의 臨床的 考察
- 신경정신과 노인환자의 임상적 고찰
- 주요우울증환자와 정신분열증환자에 대한 부분수면박탈의 항우울효과
- 유치원 아동에 대한 부모의 행동양식
- 주정중독 환자 배우자의 불안과 우울 성향 및 가정 생활
- 정신치료극이 정신과 입원 환자의 자기 및 타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증 환자에서의 약물치료에 따른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변화에 관한 연구
- 범죄 예측 척도에 관한 예비적 연구
- 사회공포증 집단치료 ㅡ치료경과 및 결과 一
- 항정신병약물로 야기된 장시 정좌불능증의 Propranolol 치료효과에 관한 예비적 연구
- 항파킨손약물로 치료한 토끼증후군 1례
- 정신의학 윤리에 관한 연구- 임상과 관련된 6 가지 윤리학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
- 청소년 Dextromethorphan Hydrobromicle(?渶? 미 라) 남용 6 례
- 한국판 진단적 면담검사들의 객관적인 신뢰도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