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의 표준화 연구
이용수 1,349
- 영문명
-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 Develope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권용철 박종한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8권 제1호, 125~13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9.01.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n version of MMSE(MMSE-K) was tested for 65 normal controls and 39 patients with
functional psychiatric disorders who had been either hospitalized or visiting out-patient department.
For the assessment of the normal, dementia and functional psychiatric disorders, two psychiatrists
interviewed all the samples individually. The DSMIII was use for diagnostic criteria.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rgraphic factors and
the MMSE-K scores and to correct the MMSE-K scores for these factors.
Age, sex and residence had no significant effects, but edu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MSE-K scores.
The MMSE-K scores of non-educ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educated
group in the items of time and place orientation, attention and calculation and language function,
and the differences were 1.0, 0.3, 1.7 and 0.6 point respectively.
To correct the MMSE-K scores for demographic factors, the authors adjusted the scores
of non-educated group by adding 1 point to time-orientation and language function and 2
point to attention and calculation, but not exceeding the maximum scores of each item. After
the correction, the differences between non-educated and educated groups were eliminated.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 that the MMSE-K scores must be corrected as described
above for demographic factors to be used for Korean elderly.
목차
서 론
MMSE의 번안
연 구 대 상
검 사 방 법
결 과
고 찰
요약 및 제안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살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관한 예비적 조사
- 치료공동체로의 구성과 추적평가
- 정신과의사 및 한의사들의 홧병에 대한 개념
-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의 표준화 연구
- ICD-10의 정신장애 분류에 관한 예비적 연구 - 일부 주요 진단범주들의 적합도와 진단일치도 를 중심으로- _
- 주우울증 환자에 있어서 혈중 전해질 농도에 의한 Dexamethasone 억제검사의 예즉
- 입원한 알코올성 정신장애 환자에 관한 연구
- 소아 . 청소년 정신과 입원환자에서의 입원치료를 통한 통제소재의 변화
- 경계선 인격장애의 진단
- 생활사건과 뇌졸중 발병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경계선 인격장애의 정신치료 경험
- 경계선 장애의 정신분석적 정신치료
- 만성정신분열병의 양성 및 음성증상에 대한 Lithium의 항정신병 효과
- 심한 자해로 입원한 아동의 행동치료
- 경계선 장애의 개념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단기반응성 정신병 환자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 비교연구
- 입원한 청소년 정신분열병 환자에 적용된 정신치료극의 효과
- 경계선 인격장애의 원인적 측면 —청소년 환자를 중심으로一
- Ethanol Patch Test와 음주 후 불편감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 ental Disord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Comparison of Frequency-Specific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s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Predicting 5-Year Survival and Mortality in Dementia Patients: A Data-Driven Approach Using XGBoost for Enhanced Care and Resource Allocation
- Online Aggressive Behavior, Self-Harm Behavior,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 Sites Addictive Tenden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x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