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부진아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무용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이용수 323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Art Program Focused on Dancing on the Self-Respect of the Under-Achiev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정희자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3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무용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학습부진학생들에게 습득하게 하고 그 사례연구를 통해서 학습부진아의
자존감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앞서, 이 프로젝트의 1단계에서는 초등예비교사에게
이 ‘무용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을 2차시씩 10주간 습득하게 하여 이 프로그램을 실제로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한 바 있다. 그 결과, 초등예비교사는 이 프로그램의 습득은 물론 학습부진아에 대한 이해의 증진과 긍정적
인식이 증진되었음도 확인한 바 있다. 이러한 1차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단계의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인
2단계 연구에서는 실제로 현장에서 50명의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에게 2차시씩 10주간의 ‘무용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
램’을 실시하였으며, 이 때 1단계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가 보조교사 겸 멘토로서 함께 참여하였다. 이 과정을 수행하기
전과 수행한 후의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 결과 ‘무용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은 자기비하의 감소, 타인과의 관계
향상, 자신감의 향상 등을 통하여 학습부진아의 자존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참여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수면시간과 정의적 특성 비교분석
- 체육교육에 있어서 학습 동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소고
- 태권도 수련 경력자와 비경력자의 뇌파 및 두뇌활용능력 차이 분석
- 초등예비교사의 체조수행능력믿음이 체조수업에 대한 자기인지평가와 수강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무용중심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적용 사례 연구
- 초등학교 동작도전 수업 설계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핵심 역량 탐색
- 학교 간 친선 교류전을 통한 초등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례 연구
- 초등 예비교사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과정 탐구
- 롤스의 정의론 관점에서 학교체육의 불평등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
- 체육 수업을 통한 다중지능의 발달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자기주도 학습의 가능성 탐색
- 초등학교 태권도 교육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하나로수업모형 성장기(成長記)
- 초등학생의 골프클럽 종류에 따른 스윙 구간별 양발의 지면반력 차이 비교
- 규칙적 스포츠 동아리활동 유⋅무에 따른 여자 교대생의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건강체력 및 혈중지질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