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요우울증 환자에서의 청각 사건관련 전위 P300
이용수 3
- 영문명
-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채정호 노왕구 유태열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9권 제4호, 772~77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vent-related potential (ERP) has been demonstrated to be sensitive to both sensory and
cognitive processes. P300 component of the ERP is regarded as an endogenous evoked potential
which can be altered by psychological or cognitive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mplitude and latency of P300 using two tone discrimination
task in 22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of 14 control subject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latencies of P300 were prolonged in depressed group than control subjec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 .0 5 ).
2)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latencies of P300 showed more prolonged
tren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depressive symptoms(r= 0.393).
3) the latencies of P300 were markedly prolonged in the group that showed more severe
depressive symptoms than those with less severe symptoms(p〈0.005).
This findings suggests that the latencies and ampitudes of P300 may be useful clinical
measures which can reflect 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목차
서 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의력 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측면
- 강박장애의 생물학
- 노인의 우울 • 불안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에 관한 연구
- 認知機能障碍를 보인 機能性精神障碍 老ᄉ患者들의 臨床的 考察
- 정신분열병환자의 회화에 나타난 예후적 특징에 관한 일 연구
-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 주요우울증 환자에서의 청각 사건관련 전위 P300
- 정상인,정신분열증 및 우울증환자에서 한글의 시각적인식과 관련된 대뇌반구의 비대칭성
- 정신의학 교육이 자살 중재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인지기능과 사건관계 전위
- 발작적 열감과 Clonazepam
- 정신치료 집단 Supervision 경험
- 家兎의 前庭眼球反射에 대한 Amphetamine 및 Diazepam의 影響
- 대학입시 스트레스가 고등학생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에 합병되 어 나타난 급성 신부전증 1예
- 노인 집단에서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진단 능력
- 뇌 전산화 단층촬영상 정신분열증 환자의 대뇌반구 비대칭의 반전에 관한 연구
- 한국인의 자살 (1965—1988)
- 전기경련요법의 심전도에 대한영향
- 홧병에 대한 일 역학적 연구
- 정신과 환자가족의 스 트 레 스 지각 및 대응전략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