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attis Dementia Rating Scale(MDRS) 의 비치매 노인군에 대한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n Application of Mattis Dementia Rating Scale (MDRS) in the Non-Demented Elderl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곽호순 박종한 하재창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9권 제6호, 1398~140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0.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 attis Dementia Rating Scale(MDRS) was tested for 144 nondem ented Korean elderly whose
age were 60 or more in years.
The study attem p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scores and MDRS scor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he MDRS scores.
The results are as followes *
1)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938 and the inter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998.
2) The total score of MDRS was 136± 10.3.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w MMSE-K scores and the MDRS scores was significantly
high degree and that of the corrected MMSE-K scores was also significantly high degree,
each correlation of r = 0.693 and r = 0.615.
4) Age and edu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tal scores of MDRS, but both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test of initiation/perseveration, and age had not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test scores of conceptualization.
5) The total scores of MDRS and the subtest scores of attention, construction, conceptualization
of 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on the subtest scores of initiation/perseveration and memory.
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ubtest scores and total score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test scores of initiation/perseveration and attention
and between the subtest scores of initiation/perseveration and conceptualization.
목차
서 론
M D R S의 번안
검 사 대 상
검 사 방 법
결 과
고 찰
요 약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응급실 내원 정신과 환자에 대한 고찰
- Haloperidol Decanoate의 임상효과 및 항정상태 약동학
- 지연성 운동장애 환자에서 뇌 척수액 丫-Aminobutyric Acid 농도에 관한 연구
- 신경정신과에 입원한 알콜리즘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 Clomipramine과 Carbamazepine의 병합투여로 치료한 발모 광 (Trichotillomania) 1 례
- 뇌파 등전위 분포도(Topography) 분석에 의한 청소년기 입원 정신장애자의 뇌파 성숙에 관한 연구
- 응급실 내원 정신과 환자의 1979년과 1989년 비교
- 임종환자에 대한 태도조사
- 사회공포증의 임상고찰 (III)
- 신경증적 불안과 갑상선 항진증의 현상학적 연구
- 월경전기 증상을 가진 여성들로서 월경전기군과 증식기군에서의 통각예민도의 비교
- 입원된 정신분열증 환자의 기능수준에 따른 우울과 불안에 관한 연구
- 조증 환자에서 Carbamazepine과 Lithium Carbonate의 갑상선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
- Mattis Dementia Rating Scale(MDRS) 의 비치매 노인군에 대한 연구
- 우울증에서의 갑상선호르몬(T4) 과 항우울제의 병합치료에 대한 예비연구
- 정신분열병환자에서의 지연성운동장애와 음성증상에 관한 연구
- 주요 정신질환에 있어서 갑상선호르몬의 진단적 의의
- 조증과 정신분열증 환자의 TRH 자극검사
- 측두엽 간질 환자의 한글 인식의 대뇌 비대칭성
- 만성 정신분열병 및 지연성운동장애 환자에서 뇌 척수액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에 관한 연구
- 거역퇴원환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우울증 환자에서의 임파구 아형
- 신경펩타이드와 정신장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취업불안이 청년 구직자 및 이직자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