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지지기반 연계 및 강화를 통한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촉진방안 연구 - 독일 헤센 주의 지역사회 기반 지지체계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514
- 영문명
- Study of Promoting Independent Liv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ion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of Social Support - Based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Germany -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저자명
- 박재우
- 간행물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제36호, 149~1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국내 지적장애인의 성공적인 자립생활 촉진과 유지를 지원코자 이
들의 자립생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사회적 지지기반의 구축을 통해 자립생활
을 강화하고 있는 독일의 예를 통해 살펴보며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국내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문제점은 첫째,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에 대
한 정부의 의지와 노력이 근본적으로 미흡하다. 둘째, 대표적인 서울의 경우 과
도기 단계의 자립 지원 주거체계는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치 않은 것으로 선
택의 권리가 보장된 당사자 중심의 자립지원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
내 이들을 위한 전문적 자립지원체계와 사회적 지지기반이 부재하다.
독일의 경우 스스로 자립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의 법적 보장, 자립지원 전문
기관 및 인력 그리고 당사자의 자발적 네트워크 구축과 유지에 이르는 다차원적
자립지원이 이뤄진다. 이들에 대한 지원은 시작부터 실생활중심의 포괄적 네트워
크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사회적 관계성과 특
정 기관의 조직화 또는 당사자 참여의 주도성 및 정도에 따라 구조화, 반구조화
그리고 비구조화된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은 첫째, 이들이 자립
적 생활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법적 토대마련 및 권리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지
적장애인의 장애 특성 및 개별적 환경에 적합하게 지원할 수 있는 전문체계, 특히
전문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 셋째, 자립지원서비스 제공 기관이나 지역사회의
공공기관들이 이들의 네트워크 형성 및 유지를 위한 반구조화된 차원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기회제공 확대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자립 전문지원인과 사
회구성원들의 이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지역사회 내 특수
사회교육적 프로그램의 교육이 절실하다. 앞으로의 과제는 국내 지적장애인들의
성공적인 자립생활 촉진을 위해 사회적 지지기반 관련 질적 연구가 시급하다.
영문 초록
목차
1. 문제제기: 국내 지적장애인 자립생활지원의 발전 과정과 문제점
2. 독일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지지기반 연계 및 강화를 통한 자립생활 촉진 방안
3.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