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현미경을 활용한 초등학교 생물 교재 개발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발행기관
-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경호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53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학은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이론을 통해 이해하는 능동적인 과정이다. 관찰은 과학의 탐구
과정을 시작하는 중요한 기능이다. 초등학교 과학 탐구 과정 기능에서 가장 첫 단계로 언급되는
관찰은 모든 탐구의 기본이 되는 기능이기도 하다. 현미경은 망원경과 함께 오래 전부터 관찰자
의 관찰을 돕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어져 왔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편성된 현미경 사용 단원
은 매우 적지만 초등학교에서 거의 유일한 관찰 도구인 현미경을 학생들에게 경험시킬 수 있는
여러 방법이 필요하다. 현대에는 스마트 기기가 대부분의 우리 생활에 깊이 관여하고 교육 현장
에도 널리 보급되어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 가운데 하나인 디지털 현미경이 초등학교 현장에
보급되면 기존의 기계식 현미경의 단점을 줄여 학습자의 관찰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실험
에 대한 어려움을 줄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부착용 디지털 현미경 사용을 중심으
로 초등학교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생물 교재를 개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IV.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신교과서에 나타난 근대 여성상 연구
- 아두이노 기반의 교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3개국 국제교육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초등 6학년 수학영재 학생의 타 교과와 관련된 수학문제 만들기에 관한 조사?분석
- 예비교사들의 대안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백제시대의 아산지역 산성과 탕정성
- 이야기 능력 발달의 분석 방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Romey 기법에 의한 실과 교과서 ‘생활과 정보’ 단원의 탐구 성향 분석
- 통합학급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초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 검증력, 효과의 크기, 신뢰구간 사용 실태 분석
- 한국 고대사상의 원형(原型) 탐구(Ⅱ) - 고구려 건국설화와 한국 선도(仙道)사상-
- 초등학교 과학 교육을 위한 Maple animation 제작에 관한 연구
- 엘렌 케이(E. Key) 어린이 이해의 낭만주의적 성격
- 디지털 현미경을 활용한 초등학교 생물 교재 개발 연구
- 융합 교육을 위한 C 프로그래밍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의 개념 모색
-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