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의 정보화와 표준의 문제틀

이용수  9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김은영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2호, 212~226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9.01.0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컴퓨터 기술은 90년대의 커뮤니케이션 기반구조를 헥신시켰다. 정보고속도로의 출현은 사람들 이 공동체나 타인들과 교류하는 방식에 영향을 끼치고 그 발전과 더불어 사회 속의 사람들의 생각 과 행동 방식은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과 멀티미디어로 표현되는 새로운 테크놀러지의 위 력과 잠재성은 박물관이 그 본질적 기능을 수행하눈 데 있어서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초 기 박물판 전산화는 소장품 매니지먼트나 행정업무에 집중적으흑 이용되어왔지만 최근에는 대외적 으로, 즉 서로 다른 박물관들 사이에서, 박물관과 연구자들 박물관과 대중들 사이에 활발한 정보 의 공유로 확산되고 있다 하루에도 수백만의 사람들이 세계의 네트월 시스템인 인터넷을 통해 박 물관의 소장품 정보에 접하는 시점에서 국내의 박물관 영역에서도 소장품 정보화가 함축하고 있는 ·문제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변화하는 환경에 떠빌려 소장품 정보를 구축하고 이를 웹사이트에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글은 컴퓨터 테크놀러지가 박물관의 본질적 기능으로서의 소장품 정보 관리와 대중 프로그램에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 박물관 정보화의 궁극적 목표와 전략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우리보다 몇십년 앞서 시작된 구미의 박물관 전산화의 역 사와 소장품 정보관리의 개념과 국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박물관 정보 표준화의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소장품정보 관리의 중요성
1. 소장품 기록의 개념
2 소장품의 전산관리시스댐의 천개
Ⅲ. 정보화 환정에서의 새로운 가능성
1. 인터넷과 가상 박물관
2. 멀티미디어 테크놀러지의 교육적 이용
3.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의 전망
Ⅳ. 정보의 공유를 위한 표준화
1. 소장품 정보 표준의 목적
2. 빅물관 정보 표준화를 위한 국제협력
Ⅴ. 맺음말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 (1999).박물관의 정보화와 표준의 문제틀. 박물관학보, (2), 212-226

MLA

김은영. "박물관의 정보화와 표준의 문제틀." 박물관학보, .2(1999): 212-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