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학』과 연극치료
이용수 13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박미리
- 간행물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극치료의 실제 작업을 『시학』과 관련하여 점검하고자 하는
것으로, 연극치료가 연극 그 자체의 과정임을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공연 전
반과 다르지 않음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론
에서는 『시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플롯, 모방, 감정, 언어의 측면이 연극치
료 작업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
인하였다. 첫째, 연극치료 과정은 전체와 매 회기에 있어 각기 플롯의 흐름
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는 연극치료사들이 각별히 유념해야 하는 것으로,
그 안에서 상승과 하강이 있고 급전과 발견이 이루어질 때 효과적이다. 둘
째, 모방은 우리의 본능이며, 경험과 쾌감 그리고 인식과 관련된다. 즉 모방
은 경험을 근거로 하며, 모방의 결과물인 예술을 접할 때 실제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는 법을 배우며 그 결과 즐거움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모방
은 자연적으로 거리두기의 기능을 한다. 셋째, 감정의 순화인 카타르시스는
연극의 목적인 동시에 연극치료에서도 목표가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연민과 두려움이라는 감정이며, 이 둘의 균형은 곧 건강함을 뜻한다. 감정
은 연극치료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다양한 투사 활동을 통해 진실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넷째, 언어는 치료에 있어 그 자체로 은유가 되어 거리
두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시학』을 통해서 본 연극치료
1. 플롯
2. 모방(미메시스, 재현)
3. 감정
4. 언어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Long-term Chemotherapy Management in a Small-breed Dog with Intracranial Invasive Nasal Carcinoma: A Case Report
- 고양이 연부조직육종 증례보고
- 동물보건사 제도에 대한 충남지역 수의사의 인식 분석 및 제도 개선 방안 연구: TOE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