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전략과 인적자원개발정책에 대한 비교연구
이용수 6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저자명
- 이만표
- 간행물 정보
- 『Andragogy Today』제8권 제1호, 121~16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1.0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하락하고 있는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국가경쟁력 평가모델들의 특성비교와 주요선진국들의 국가경쟁력 증진을 위한 전략과
실태를 파악했다. 또한, 주요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국가발전전략과 인적자원개발정책을
비교 ․ 분석하여 시사점 및 개인, 기업, 정부의 역할을 제언했다. 결론은 첫째, 국가경
쟁력 평가에서 정보화와 인적자원에 대한 평가비중이 높아진다. 둘째, 선진국은 국가경
쟁력 증진을 위하여 혁신주도형전략을 선택한다. 셋째, 선진국은 국가발전전략 및 인적
자원개발정책을 위해서 지식기반경제 환경과 자국의 역량을 고려하여 선택과 집중을
한다. 넷째, 우리나라는 국가발전전략과 인적자원개발정책에 있어서 핵심이 모호하며
추진 시 급진적 변화전략으로 인하여 많은 위험이 따른다. 시사점은 첫째, 교육인적자
원부의 명칭을 바꿀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행정권한을 중앙에 집중하기보다는 지역
및 단위학교에 이양해야 한다. 셋째, 국가발전전략 및 인적자원개발정책은 정권교체에
관계없이 장기적 ․ 종합적 계획 하에 일관되게 추진되어야 한다. 제언은 첫째, 개인의
역할은 선진시민의식함양과 역량을 위하여 적극적인 사회참여 및 평생학습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의 역할은 CEO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비전과 철학이 있어야 한다. 셋째, 정
부의 역할은 정치인과 관료집단의 자세변화가 필요하며, 인적자원정책에서는 ‘평준화정
책’에서 ‘경쟁우위정책’으로 바뀌어야 하며, 각종 규제를 철폐 또는 완화해야 한다.
영문 초록
목차
국가경쟁력의 결정요인과 평가모델
주요국의 국가경쟁력강화전략 및 인적자원개발정책
주요국의 국가산업발전전략과 국가경쟁력 실태
한국의 국가발전전략 및 인적자원개발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