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공간(1945-1948)에서 제기된 민족미술의 성격분석
이용수 70
- 영문명
- 발행기관
- 동아시아문화학회
- 저자명
- 이진성
- 간행물 정보
- 『동아시아문화와예술』제7권, 174~190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45-1948년 3년간 대다수의 민족미술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구체적 방
안들이 우익계 미술인들에서 보다는 좌익계 미술단체의 미술운동 전개
과정에서 피력되었다. 이는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개별적인 개인 보다는
“민족주의”를 더욱 강하게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해방 공간 좌익계열 문
화운동의 전반적인 흐름으로 읽을 수도 있겠다. 이 시기 이후 민족미술에
대한 논의들은 한국전쟁과 60, 70년대 및 80년대의 민주화운동 등을 겪
으면서 지속적으로 그러면서도 또한 닮은 듯 다른 뜻으로 반복되고 거급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의 단초에 불가함을 명시하면서, 이후 연결
되는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해방공간(1945-1948) 3년의 미술계
III. 이 시기 제기된 민족미술의 성격분석
IV.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문화·경영·기술 제5권 제1호 목차
- 『삼체(三体)』의 이데올로기:원작과 넷플릭스 드라마 속 인물 비교를 중심으로
- 영웅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청소년 비행과 영웅적 행동의 관계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