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서원의 사회 교화 방법 고찰
이용수 15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장재천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40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시대 서원의 교육은 ‘존현’(尊賢-사회교육적 측면)과 ‘강학’(講學-학교교육적 측면)이라고 하는 두 가지의 목표를 양대 축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졌으며, 그것은 또 대체로 도학(道學-성리학)적인 이상세계를 실현하려는 지방 사림(士林)들의 향촌 장악 의도 하에 실행되었다고 할 수 잇다. 이러한 세계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해, 서원은 존현을 위한 제향(祭享), 향음주례(鄕飮酒禮), 향사례(鄕射禮), 향약(鄕約), 강회(講會), 통문(通文)을 통한 사림공론(士林公論)의 조성 등으로 사회 교화적 성격을 갖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사실 그와 같은 사회 교화적 성격의 방법들은 거의 모두가 모델링(modeling) 기법에 의한 예(禮)․효(孝)․제(悌) 등의 실천을 통해 성리학적 신분질서를 계속 재정립하려는 것이었으며, 결국 향촌 주민들을 보다 더 확실하게 장악하여 자신들의 성리학적 이념에 맞게 교화시키려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목차
I.머리말
II.서원의 사회 교화 방법과 그 의의
III.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선시대 서원의 사회 교화 방법 고찰
- 조선 중기 남명학파의 교육 : 자득(自得) 강조의 계승
- 집단 따돌림을 당하는 학생과 주도하는 학생 및 일반학생의 성격특성과 감성지능 비교연구
- 전시동원체제와 식민지 교육의 변용 : 일본 식민지 지배하의 한국요규, 1937-1945
- 단위학교 사회적 환경의 측정방법 : 다층분석적 접근
-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 문제표상 학습방법의 효과 : WOO기반 학습방법을 중심으로
- T. Amabile의 창의성 이론에 근거한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연구
- 국가수준 교육과정 질 관리의 개념화의 교육과정 행정의 개선 방향
-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전략 탐색
- 교사 효능감 관련 변인의 분석 : 직무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 교원정년단축은 신회보호원칙에 위반되는가?
- 두 가지 유형의 사회적 상황에서 한국 아동과 미국 아동의 권위 판단에 대한 비교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