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구관계 형성,성격,따돌림의 구조 모형 분석
이용수 7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순달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42권 제2호, 543~5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의 친구 관계 형성, 성격 유형 그리고 따돌림 유형에 대한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한 것이다. 자료 수집에 사용된 검사도구의 신뢰도(Cronbach α)는 친구 관계 형성 문항 .94, 성격 문항 .93, 따돌림 문항 .8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친구 관계 형성은 호혜성의 기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격 유형에서도 내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외형 따돌림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두 모집단의 공분산행렬(HΣ : Σ1남)=Σ(여))과, 요인패턴행렬(HΛ : Λ(남)=Λ(여)) 검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검증한 결과 카이자승값(χ2=17.71)이 크지 않으면서 확률값(P>.05)이 크게 나타났다. 합치도 지수(GFI)가 .99로 나타나 모형이 자료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돌림은 성격보다 친구 관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호흡이 초등학생의 학습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학교 창의성 교육 평가 연구
- 뇌기능과 창의적 능력간의 관계
- 학교 내에서의 또래집단괴롭힘 피해 경험과 아동의 대처전략 유형 및 외로움과의 관계
- 여성학적 관점에 의거한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 학교의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의 성격 : 다중성과 모호성
- 태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경험적 접근 : 수학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 학부모 교육열의 내러티브적 접근
- 사교육 선호 경향 및 선호 요인 분석 연구
- 친구관계 형성,성격,따돌림의 구조 모형 분석
- 외국어학습전략 훈련의 효과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
- 교육용 게임에서 게이머의 활동을 이해하는 틀로서의 활동이론 탐색
- 교직윤리에 대한 세 가지 윤리학적 접근과 그 의미
- 자유역할놀이에서 나타난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 인지적 자연주의
-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 전략의 초․중등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 탐색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효과분석
- 일제강점기 초등 ‘교과 외 활동’에 관한 고찰
- 산악등반 체험의 교육적 해석
- 지역평생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학습동아리 활성화 방안
- 중고등학생의 직업포부 변화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왕세자의 교육기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