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상관계 가족치료이론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9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김진숙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8권 제2호, 137~1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1.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신역동적 접근에 대한 관심의 부활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Nichols & Schwartz, 1991). 우선 가족치료내에서 일어난 변화이다. 가족체계가 가족원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가족원들의 개인내적 역동이 가족원간의 상호작용이나 가족 전체의 역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었다. 즉, 체계와 개인 (the system and the self)에 대한 이해와 개입이 상호배타적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이며 가족치료에 유용하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게 되면서, 정신역동접근과 가족치료접근을 접목시키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Nichols, 1987). 둘째는 정신분석이론 내에서의 변화이다. 개인내적 역동에만 초점을 두던 Freud의 정신분석이론에서 좀더 관계중심적인 대상관계이론 (object relations theories)과 자기심리학 (self psychology)과 같은 이론들이 소개되어 정신역동적인 관점이 가족치료이론에 재도입되는 것을 좀더 용이하게 했다는 점이다. 대상관계가족치료는 대상관계이론을 가족치료에 적용시킨 이론으로서 1970년대부터 Shapiro, Zinner, Jill Scharff, David Scharff, Splipp 등과 같은 이론가들에 의해 발전되었다 (Scharff, 1989). 대상관계이론은 대상관계가족치료의 근간이 되는 이론이며 아직 국내에서 잘 소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이해를 돕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상관계가족치료이론의 논의에 앞서 대상관계이론의 주요 전제 및 개념들을 고찰하고, 이어서 대상관계가족치료이론과 한국적 적용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I.서론
II.대상관계가족치료이론에 대한 개괄적 고찰
III.사례 적용
IV.한국가족과 대상관계가족치료이론
V.대상관계가족치료이론의 효과성과 가족치료훈련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