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 폭행 여성의 실절 의미화와 적응 형태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이순형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3권 제1호, 95~10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1.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유교문화적 전통에서 성 폭행은 신체적 폭행과 달리 실절로 의미화될 수 있다. 성 폭행을 실절로 의미화한 여성은 성 폭행 당한 후 적응 곤란을 예상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전통 가족의 적처권을 비롯한 부부관계에서 형성된 여성관 및 이중적 성 의식은 현대인의 성 의식에 잔존해 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이러한 이중적 성의식이 성폭행을 실절로 의미 화하고 그러한 의미해석에 따라서 실절후의 적응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되었다. 여성단체들이 보고한 58사례를 통해서 이 가정을 살펴보았다. 성폭행을 실절로 인지하고 자신의 결함으로 해석한 여성은 인지적 판단의 혼란과 부적응을 더 겪었다. 성폭행을 실절로 인지했어도 그것을 가해자의 악행으로 해석한 여성은 불운을 탓하고 그 상처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가족원에게서 성폭행을 당한 경우에는 어떠한 의미화도 가능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장 심각한 적응 곤란을 겪었다.
영문 초록
목차
I.문제제기
II.한국 사회의 문화적 특성과 실절의 의미
III.성폭행 여성의 의미화와 적용
IV.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 폭행 여성의 실절 의미화와 적응 형태
- 성 폭력의 실태
- 어린이 성 폭력의 심리적 영향
- 성 폭력 피해자의 심리적 접근 : 피해아동과 성인을 중심으로
- 성학대 피해아동의 증언 문제
- 어머니의 양육 태도,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아동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 유아의 또래간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성 폭력의 법적 문제와 대책
- 아동의 공격성에 대한 귀인과정의 시간적 경로 분석
- 청소년의 부모갈등 평가에 따른 고통지각과 정서규제 전략
- 아동의 식습관의 선행요소(기질 및 식환경)에 관한 연구
- 자기지각 검사에 대한 자기개념 연구(1) : 대학생의 우울 및 자기상과 관련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