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행복증진활동 척도 타당화
이용수 74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인간발달학회
- 저자명
- 임정하 김경민 조은영 강현지
- 간행물 정보
- 『인간발달연구』제23권 제2호, 131~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enricksen과 Stephens(2013)가 개발한 행복증진활동 척도(Happiness-enhancing Activities and Positive
Practices Inventory; HAPPI)를 한국판으로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59세 성인 805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활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탐색적 요
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한국판 행복증진활동 척도의 구성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한국판 행복증진활동 척도는 성취지향적 활동 5문항, 여가취미 활동 4문항, 공동체 활동 3문항, 개인적
관계중심 활동 4문항, 총 4요인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행복증진활동과 삶의 질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행복증진활동의 모든 하위요인은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본 척도
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내적 일치도 및 반분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국 성인의 행복증진활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남성들은 여성들보
다 성취지향적 활동을 많이 하는 반면,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개인적 관계중심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인의 의지적 활동에 중점을 둔 한국판 행복증진활동 평가도구를 제공함으로
써 추후 행복 증진 연구 및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