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相談者의 假設檢證에서 質問戰略과 質問方式
이용수 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 저자명
- 김동원 김정희
- 간행물 정보
- 『동서정신과학』제1권 제1호,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01.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할 때 어떤 질문전략과 질문방식을 선호하는 가를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상담심리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 이들은 대학의 학생생활상담연구소에서 상담하는 상담자 26명, 지역 상담실에서 상담하는 상담자 6명으로 총 3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우편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들은 가설 제시조건과 가설 생성조건에 무선 할당되어 상담사례 축어록을 읽은 후에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제시조건과 가설 생성조건에서 피험자들이 선호하는 질문전략과 질문방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가설 제시조건에서 피험자들은 비편파적 질문전략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개방질문을 한정질문보다 월등히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가설 생성조건에서 피험자들은 역시 비편파적 질문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개방질문을 한정질문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다. 가설 제시방법의 두 조건 모두에서 피험자들은 비편파적 질문전략을 전체 질문전략 가운데 50%이상 사용하였으며, 비편파적 개방질문을 다른 질문보다 많이 사용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연구방법
결과
논의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