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패한 여가의 심리학적 의미 : 무슨 여가를 왜 실패하는가?
이용수 24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여가문화학회
- 저자명
- 허태균 박정열
- 간행물 정보
- 『여가학연구』제2권 제1호, 69~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가의 긍정적인 요인과 결과들에만 한정되어 온 기존 연구들이 간과한 여가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문연구를 통해 가장 자주 하는 여가활동, 가장 성공적인 여가활동, 실패한 여가활동들의 경험과 원인을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경험이 자기자존감과 생활만족도 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를 보면, 가장 빈번히 하는 여가활동과 성공적인 여가활동이 그렇게 판단되는 원인으로 응답자들은 ‘함께 하는 사람과’ ‘내 성격’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한 반면 가장 실패한 여가의 실패원인으로는 ‘시간’이 가장 중요하게 판단되었고 ‘함께 하는 사람’은 그리 중요한 원인이 되지 못하였다. 가장 빈번한, 성공한, 실패한 여가활동들에서 만족도와 주관적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와 자존감과 여가 유형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러한 본 논문의 결과는 단지 여가성공의 반대 개념이 여가 실패가 아닐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고, 끝으로 본 연구와 관련한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서론
2.설문 연구
3.연구방법
4.연구결과 및 분석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