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건복지계열 학과생의 공동실습 효과성 요인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9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저자명
- 조윤득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제19집, 109~1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 연계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된 다수의 전공학과 학생들의
공동실습이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
로써 직업교육으로서의 공동실습의 효과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부산
지역 K대학의 보건복지학부 6개 학과 학생으로서 보건복지현장 공동실습에 참여한
12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실습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 의해 개발된
25문항을 선정, 요인분석 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이 수렴되었고, 이를 ‘소통력 강
화’(6항목), ‘연계력 강화(5항목)’, ‘자기전공인식강화(6항목)’, ‘타전공과의 차이인식
(5항목)’, ‘타과 존중(3항목)’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진로정체감에 대한 공동실습의 효과는 실습 전(M=2.25. SD=.298)과 실습
후(M=2.50, SD=.507) 비교 결과 진로정체감이 전체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공동실습 효과성 요인은 ‘자기전공인식강화’로 나타
났다. 즉, 공동실습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전공에 대한 인식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이는 곧 진로정체감 강화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의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