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프로그램 연구의 효과: R을 이용한 메타 분석 및 메타 ANOVA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981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학습장애학회
- 저자명
- 정광조 여승수
- 간행물 정보
- 『학습장애연구』제13권 제1호, 201~2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적용된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들의 효과
를 R을 이용한 메타분석 및 메타 ANOVA를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직접교수 읽
기 및 수학 프로그램 연구의 평균 효과의 크기는 0.25로 작은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연구들 중에서 증거-기반의 실제인 연구들의 평균 효과의 크기가 0.64로
중간 정도 크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라지 DI’ 연구들만을 대상으로 평균
효과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 1.04로 큰 크기의 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
내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연구들의 중재 기간에 따른 조절변수효과분석을 위한 메타
ANOVA 결과, 중재 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의 직접교수
읽기 및 수학 프로그램이 증거-기반의 실제임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라지 DI’ 읽기 및 수
학 프로그램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 및 효과를 분석하는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
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경향 학생을 위한 교사의 교수적 지원 실행 및 그 영향 변인
- 읽기장애위험군 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중재반응모델(RTI) 적용 가능성 탐색: 어휘중재 적용 효과 분석을 바탕으로
- 학습장애 학생의 학교폭력 상황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대처
- 마인드맵을 활용한 일기쓰기 활동이 경계선급 지능 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난독증 학생 지원 요구에 대한 이해관계자 집단 간 비교 분석
- 자문화기술지를 통한 특수아동의이해 수업에서의 예비일반교사 지도경험 분석
- 경도장애학생의 기초학습기능향상을 위한 멀티미디어활용 중재효과 메타연구
- 국내 읽기 및 수학 직접교수 프로그램 연구의 효과: R을 이용한 메타 분석 및 메타 ANOVA 분석을 중심으로
- 사례기반학습이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