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日母字를 통해 본 韓國 漢字音의 기원 문제
이용수 7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저자명
- 李海雨
- 간행물 정보
- 『중국학논총』제5호, 229~2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1.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까지 韓國 漢字音의 기원에 대해 아래 도표1에서와 같이 여러 학설이 있는데 대략 5세기에서 10세기까지 넓은 폭을 넘나들고 있다. 그렇지만 최근에 이르러서는 中國의 中古音이 한국 한자음의 기원을 이루고 있다는 설이 학자간에 공통적인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어느 시기에 어떠한 중국의 방언이 현재 한국 한자음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는 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의 여지가 많다.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는 한국 한자음의 기원에 대해 서로 각기 다른 자료와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나름대로 주장을 피력하였다. 한국 한자음이 중국의 어느 시기와 어떠한 곳의 음에 기원을 두고 있는가에 대해 그간 발표된 주요한 이론은 아래와 같다.
그리고 필자는 박사논문 《An Etymophonological Comparison of Chinese Dialects, Sino-Japanese, and Sino-Korean》(1994)에서 한국 한자음은 7-8세기의 唐代 長安音에 기저를 두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序論
2. 上古 및 中古 漢語에서의 日母字 音價
3. 고유 한국어에 보이는 上古 中國語의 日母字 흔적
4. 韓國 漢字音에서의 日母字
5. 中國 方言 및 日本 漢字音과의 比較
6.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鄧小平政權의 政治體制改革 : 위로부터의 民主化와 그 限界
- 《玉耶經》의 女誡文學的 檢討
- 논한어주위위어구 : 겸대비어한어일반주위구식
- <玉耶經>의 女誡文學的 檢討
- 日母字를 통해 본 韓國 漢字音의 기원 문제
- 論漢語主謂謂語句
- 修辭學的 側面에서 본 聞一多 詩<死水>
- 일모자를 통해 본 학국 한자음의 기원 문제
- 관우의 \'홍정검\'과 그 색채의 선택에 관하여
- 長君勤의 政治思想
- 북경도서관 소장본 <朝鮮書目>의 분석
- 漢語被動句的分類與其特點
- 90年代中國全方位對外開放政策和中國與周邊國家的關係
- 張君勱의 政治思想
- 關羽의 『紅整臉』과 그 色彩의 選擇에 관하여
- 諶容 소설에 형상화된 制度와 人間
- 修辭學的 側面에서 본 聞一多 詩〈死水〉
- 朝鮮朝 韻書에 대한 小考
- 淸代小說中的親族倫理硏究
- 文字 分類 方法으로서의 六書에 대한 재고찰
- 漢詩 風格 ‘疏野’ 意味分析
- 鄧小平政權의 政治體制改革
- 老舍 抗戰時期 文藝活動
- 中國 農村 剩餘勞動力에 關한 硏究
- 북경도서관 소장본 《朝鮮書目》의 분석
- 90년대중국전방위대외개방정책 화중국여주변국가적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